어린이과학동아&수학동아 토론터
기술 발전과 공익을 위해 데이터를 제공해야 할까요?
토론기간 2021.01.18 ~ 2021.02.04
지난해 12월 공개된 AI 이루다는 20대 여성으로 설정된 인공지능 채팅로봇이에요. 개발사는 이루다를 개발하기 위해 약 100억 건의 카카오톡 대화 자료를 이용했어요. 이루다는 이용자들과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해 큰 인기를 끌었지요.
하지만 개발사는 데이터를 제공한 사람들에게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해당 데이터가 어떻게 활용될지 명확히 알리지 않았어요. 또, 일부 데이터는 개인정보(예, 집 주소나 계좌 번호)도 제대로 익명화 되어 있지 않아 개인정보를 침해당했다는 논란이 있었어요.
인공지능 같은 새로운 4차 산업 분야를 발전시키기 위해 데이터 활용은 필수적이에요. 데이터는 미래 산업를 이끌 중요한 자산이자 경쟁력이라고 할 수 있어요. 기업에게 이윤을 창출해주고, 연구 개발 등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공익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지요.
하지만 이 과정에서 마땅히 보호 받아야 할 개인정보 등이 노출되는 피해가 종종 발생하기도 해요. 따라서 개인정보를 보호한다는 차원에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지요.
여러분들은 4차 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어떻게 생각하나요?
(출처 : 동아사이언스)
찬성 : 기술의 발전이라는 공익을 위해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찬성해요.
반대 :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반대해요.
토론터에 의견을 작성해 줄 때는 찬성 또는 반대하는 견해를 먼저 밝히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유를 작성해 주세요.
자신과 반대되는 의견이라고 ‘신고’를 누르지 마세요.
가장 ‘좋아요’를 많이 받은 찬성, 반대 댓글자와 시끌벅적 토론터 주제에 선정된 친구에게는 50DS 포인트를 드립니다.
※ 이번 토론터 댓글은 2월 15일 자 특집 기사에 실릴 수 있으니 더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려요~!


기술의 발전은 꼭 필요한 것이지만 동의 없이 데이터를 수집하는건 불법 입니다.
필요하다면 먼져 데이터 수집에 동의하는지 물어봐야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저는 반대합니다.
(한번 더 이유 안 쓰시면 신고합니다.)
최온유 기자입니다.
아, 전 아빠 이름으로 되어있어요!
저는 꼭 필요한 곳에 써야하니 모아 두었다가다른 곳에 쓰면 좋을 것 같아요!
여러분은 요즘 코로나 시기가 계속되면서 온라인을 많이 사용하고 계실겁니다. 저도 물론 온라인을 많이 사용하죠. 온라인 학습, 온라인 쇼핑, 등등 말이죠. 이대부분의 사이트들은 데이터를 제공하게 만듭니다. 이 과정에서 찬반 토론이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제 제가 왜 인공지능의 발전을 위해 데이터를 제공해야 하는 것에 반대하는지에 대해 알아볼까요?
그 이유는 간단하게, 개인정보 노출 위험 때문입니다. 사이트로 들어가 활동을 할려면, 대부분 계정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 과정에서, 자신의 개인정보들이 자기도 모르게 많이 노출됩니다. 이름, 주소, 나이 등등 말이죠. 이것이 좋은 곳에 사용되면 괜찮겠지만, 해킹, 또는 스피싱 등 나쁜 곳에 사용되는 사례들이 더 많습니다. 예를 들자면, 저희 할아버지께서도 어느 사이트에 가입하셨는데, 몇일 후, 할아버지 핸드폰에 저장되어있던 파일들과 돈이 날아갔습니다. 이때 할아버지의 당황하신 얼굴을 아직도 잊지 못 합니다. 이런 피혜사례들은 더욱더 전 세계적으로 많을 것 입니다. 이런 것을 방지할려면 인공지능의 발전을 위해 데이터를 제공하는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인공지능 발전을 위해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저는 이 논제에 반대합니다.
저는 얼마전 에이지 오프 울트론 이라는 마블 영화를 봤는데 그 영화에서도 인공지는이 탑채된 AI로봇이 사람을 위혀하는 내용이였습니다.
그렇게 인공지능에 오류가 생겨 우리를 위협할수도 있고 우리의 소중한 정보를 이상한 곳에 노출 시킬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세상에 있는 해커들이 우리에 개인정보를 알수 있어서 더욱 위험한것 같습니다.
따라서 저는 이런 이유들로 기술 발전과 공익을 위해 데이터를 노출시킬순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 논제에 대한 영상을 많이 본 적이 있습니다. 이루다와 채팅을 하는 앱을 만들었던 회사가 이전 앱에서 데이터 자료를 바탕으로 이루다를 만들었다는 내용 이었는데요, 그 이전 앱에서는 ' 신규 서비스 개발에 사용자의 정보를 활용한다 ' 라는 항목이 명시되어 있었지만 눈에 띄지 않아 그냥 지나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따라서 그 앱에서 개인적인 정보를 많이 나눈 것 이고요. 만약 그 항목을 좀 더 자세하고 눈에 띄게 만들었었더라면 이런 일은 없었겠죠?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루다는 성적인 대화와 장애인에 대한 편견 등등의 불쾌한 대화를 한다는 이유로 서비스가 중단 됐었죠? 이런 것들도 다 사람이 나눈 대화를 기본으로 제작되었다는 얘기 입니다. 그리고 더욱 심각한 것은 이루다에게 ' 너 어디 살아? ' 라고 묻는다면 굉장히 구체적으로 답변을 하는데요, 이 주소들도 모두, 사람이 살고 있는 주소라는 것 입니다. 심지어 전화번호, 누군가의 실명 등등도 대답할 수 있다는 것 이죠. 나도 모르는 사이에 자신의 개인정보가 빠져나가면 기분이 불쾌할 것 입니다.
따라서 저는 이런 이유로 이 논제에 반대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왜냐하면 개인정보는 보호 받아야 하고 아무리 인공지능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개인정보를 가져가는 행동은 해킹이나 다름없는 행동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회사가 개인정보를 악용 하지 않아도, 다른 범죄자가 인공지능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악용해 피해가 일어날수 있고 만약 인공지능이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 개인정보를 악용 할수도있습니다.
첫쨰. 아직 발전이 덜되어 있는 시스템이기 때문입니다.
최근에 4차 산업이 발전되면서, 우리는 인공지능이라는 시스템을 쉽게 접할수 있는데요. 이러한 문제가 있는것 처럼, 우리는 우리주변에 있는 인공지능을 완전히 믿을 수 없습니다.
아직 발전이 덜된 지금은 조금만 해킹러가 조작을 해도, 쉽게
해킹 사이트나 해킹 프로그램으로 소비자들에게 위협을 충분히 줄수 있습니다. 새로운 직업인 '화이트 해커'는 이러한 해킹러를 잡는 직업입니다.
'아이팝콘'이라는 어과동에 방영이 됬던 만화를 보시면, 블랙해커. 즉 해킹러가 많은 정보를 해킹합니다. 아직, 사회가 덜 발전한 만큼 인공지능을 바로 사용하는것은 소비자의 피해가 클것 같습니다.
두번째. 인공지능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어과동 기자분의 한 기사에 따르면, 2016년 마이크로소프트 채팅하는 인공지능, '테이'를 게발했는데요.
네티즌이라는 학생이'넌 인종차별주의니?' , '대량 학살을 지지하니?' '여성주의에 어떻게 생각하니?' 와 같은 질문에 '너가 맥시코인이니까 그렇지' '정말로 지지한다' '여성주의는 암덩이이다' 라는 많은 차별을 하는 모습을 볼수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구글포토는 한 흑인을 고릴라로 판단했고,
2019년 대닛 모릿씨가 AI스피커에게 자신의 심장박동수를 물어본 결과, 칼을 심장에 박아 자결하라는 끔찍한 말을 했습니다. 무서운것은 그 AI스피커에 그런 내용이 저장되어있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의 소중한 개인정보를 함부로 인공지능에게 보여줄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상 이화니기자 였습니다.
첫 번째: 데이터를 제공해서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한다고 해도 사람까지 발전되지 않습니다. 만약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이 되면 오늘날처럼 택배를 인공지능이 하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사람들은 일을 하기 싫게 될 것입니다. 결국 사람들은 발전되지 못하고 인공지능만 발전될 것입니다.
두 번째: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순간 강도나 법죄는 자유가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사이트 해킹이 가능하기 대문입니다. 사이트 해킹을 하게되면 피해자의 목소리, 성별, 주소, 전화번호까지 다 알수있게 될 겁니다.
데이터를 제공해준다면 우리 학습에 도움을 주지만 때로는 위험하게 변할수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을 위해 데이터를 제공해주는걸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