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스트포토상
세상에! 이런 식물들이 있다니!
이예서 기자 레벨 62021.08.0613 36 -
베스트포토상
돈의문 박물관 마을에 다녀왔습니다!
황현지 기자 레벨 62021.07.263 23 -
베스트포토상
뜻깊었던 1100고지 탐사!
최지원 기자 레벨 52021.07.236 28 -
베스트포토상
즐거운 여름활동:매미관찰
김태현 기자 레벨 52021.07.165 24 -
베스트포토상
20일만에 올챙이에서 개구리로, 양서류 키우기
김지후 기자 레벨 32021.07.077 33 -
베스트포토상
아마존에 사는 희귀 생물 TOP 4!
김윤성 기자 레벨 72021.06.2116 34 -
베스트포토상
새끼 새를 주웠을땐 어떻게 해야할까?
이우진 기자 레벨 72021.06.1827 70 -
베스트포토상
영화 속 나오는 명소들이 실제로 존재한다?
김윤성 기자 레벨 72021.06.129 34 -
베스트포토상
무당벌레의 한살이!!
이유나 기자 레벨 52021.06.0512 29 -
베스트포토상
경주에 야경 맛집들!✨
정연우 기자 레벨 42021.05.255 5 -
베스트포토상
로즈 와일리展에 다녀와서
성채원 기자 레벨 42021.05.204 11 -
베스트포토상
지사탐 개미데이 - 키우는 개미 군체 소개 2편: 흑색패인왕개미
김하원 기자 레벨 42021.05.136 10 -
베스트포토상
지사탐 개미데이 - 키우는 개미 군체 소개 1편: 왕침개미
김하원 기자 레벨 42021.05.0610 32 -
베스트포토상
명동 역사 투어를 다녀와서
배지성 기자 레벨 52021.05.012 3 -
베스트포토상
환경을 해치는 생태계 교란종 3종
김민혁 기자 레벨 42021.04.2114 24 -
베스트포토상
개미,그 신비로운 세계 두번째 이야기-우리나라의 개미들...
최시율 기자 레벨 52020.07.012 16 -
베스트포토상
[우동수비대] 첫 번째 우동수비대 활동! - 세종 **...
강리우 기자 레벨 52021.04.091 9 -
베스트포토상
제주 항공 우주 박물관에 다녀오다!
김하랑 기자 레벨 42021.04.042 7 -
베스트포토상
봄이되면 찾아오는 우리동네 변화
김다혜 기자 레벨 42021.03.220 14 -
베스트포토상
단양과 안동에서 역사와 자연 체험하기
임주영 기자 레벨 62021.03.151 6
기사 잘 쓰는법이
궁금해요!

기자단 친구들~!
‘기사를 작성해야지’ 마음을 다잡고 컴퓨터 앞에 앉았는데 무엇을, 어떻게 작성할지 막막할 수 있어요. 아래 내용을 보면서 기사를 작성해 봅시다! 기사를 작성해 본 친구들도 빠뜨린 부분은 없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기사에서 아주 중요한 것이 제목이에요. 사람들은 제목을 보고 기사를 볼 것인지 말 것인지 결정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좋은 제목은 어떻게 정하는 것일까요?
위 3가지 조건을 갖춘 제목이 좋은 제목이랍니다.
어떤 사건에 대해 기사를 쓸 때 무엇을 써야 할지 모르겠다면, 우선 ‘육하원칙(언제, 누가,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에 맞게 내용을 배열해 보세요. 객관적인 정보를 빠뜨리지 않고 작성할 수 있답니다. 특히, 체험 활동을 한 후 기사를 작성할 때는 육하원칙을 잘 지켜 주세요.
기사 내용과 관련 있는 사진과 그림을 첨부하면 기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돼요. 사용된 사진과 그림이 무엇을 설명하는지 내용을 작성해 주세요. 이때 본인이 직접 찍은 사진만 사용해 주세요, 특히, 포털 사이트에서 가져온 사진이나 그림을 사용하지 말아주세요. 저작권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기사에 오·탈자가 있다면 내용에 신뢰가 떨어지겠죠? 띄어쓰기와 맞춤법을 지키지 않은 글은 성의없게 보인답니다. 띄어쓰기와 맞춤법은 잘 작성된 기사의 기본이에요.
인터뷰를 한 모든 내용을 기사에 다 쓸 수는 없어요. 인상 깊었거나 중요해서 강조하고 싶은 내용, 독자가 궁금해 할 내용을 중심으로 인터뷰 기사를 작성해 주세요. 인터뷰 내용을 기사의 포인트로 활용해 주세요.
마지막으로 ‘나는 기자다’라는 자부심으로 어디에서든 자신감 있고 당당하게 취재하는 자세! 잊지 마세요.^^
- 01길지 않아야 해요. 한 번에 읽기 편하도록 긴 문장은 쪼개서 짧게 만들어요.
- 02쉽게 써야 해요. 영어, 한문을 사용하는 대신 순수한 우리말로 쉽게 써요.
- 03미사여구를 자제해요. ‘굉장히’, ‘매우’ 등 꾸미는 단어를 자주 쓰면 과장된 표현으로 느껴져요.
- 04적절한 용어를 선택해요. 글의 앞뒤를 보고 꼭 알맞은 단어를 찾아서 써요.
- 05문장 호응관계를 잘 지켜요. 주어와 목적어, 서술어가 서로 자연스럽게 어울려야 해요.
- 06자세히 써요. 단순히 ‘높다’가 아니라 ‘3m 높이’라고 쓴다면 정확하겠죠?
- 07같은 말은 피해요. 한 문장에 같은 단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요.
- 08글을 쓰기 전에 어떤 내용을 쓰고 싶은지 간략하게 정리해 보세요. 커다란 구성이 정해지면 글을 쓰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 09글 내용에 적합한 자료(글, 사진 등)를 활용해요. 자료의 출처는 꼭 밝혀 주세요.
- 10문단을 구분해요. 문단을 구분하면 긴 글의 지루함을 덜어 주는 효과가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