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생취재상
알면 쓸데있는 신비하고 잡다한 프링글스 사전!
이경환 기자 레벨 62019.11.2714 14 -
생생취재상
독립기념관에서 만난 안중근 의사
강리우 기자 레벨 52019.11.233 11 -
생생취재상
에버랜드 동물사랑단 활동 - [어떻게 프레리독은 몸이 ...
공채은 기자 레벨 52019.11.186 12 -
생생취재상
교실의 미래, 클래스팅으로 놀러오세요! - 클래스팅 ...
정시연 기자 레벨 42019.11.141 16 -
생생취재상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에서 물 맞은 나!
문지원 기자 레벨 32019.11.035 8 -
생생취재상
지구사랑탐사대 7기- 신도 포도밭 선충 탐사
정인혁 기자 레벨 82019.10.271 4 -
생생취재상
라면도 과학이다!
조민근 기자 레벨 42019.10.229 18 -
생생취재상
10월13일 청계천킬로와트 프로젝트에 다녀왔어요.
배한석 기자 레벨 42019.10.140 7 -
생생취재상
2019년 제41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를 다녀와서
정시연 기자 레벨 42019.10.111 3 -
생생취재상
저작권과 출처를 지킵시다!
이주은 기자 레벨 62019.09.2910 14 -
생생취재상
데자뷔 현상은 왜 일어나는 걸까?
송우주 기자 레벨 62019.09.232 11 -
생생취재상
서울새활용플라자에 다녀와서
송윤아 기자 레벨 32019.09.211 2 -
생생취재상
청바지에 숨어있는 사실
곽시원 기자 레벨 52019.09.187 14 -
생생취재상
기차에는 왜 벨트가 없을까?
송우주 기자 레벨 62019.09.106 13 -
생생취재상
청줄 청소놀래기 바다의 청소부
이도윤 기자 레벨 72019.09.075 9 -
생생취재상
왜 우유갑은 뜯는 방향이 정해져 있을까?
조민근 기자 레벨 42019.08.298 19 -
생생취재상
즐거웠던 어린이 기자체험, 기사작성 실력도 쑥쑥~
김채원 기자 레벨 22019.08.203 4 -
생생취재상
과학 수사로 진짜 범인을 잡아라, 2019년 과학 수사...
정시연 기자 레벨 42019.08.161 13 -
생생취재상
[33회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부모님과 함께 만드는 드론
박언빈 기자 레벨 52019.08.041 18 -
생생취재상
닌텐도 라보 VR 키트로 실감나는 증강현실 게임을~!!
임예준 기자 레벨 72019.07.288 24
기사 잘 쓰는법이
궁금해요!
![](/images/common/cha_write.png)
기자단 친구들~!
‘기사를 작성해야지’ 마음을 다잡고 컴퓨터 앞에 앉았는데 무엇을, 어떻게 작성할지 막막할 수 있어요. 아래 내용을 보면서 기사를 작성해 봅시다! 기사를 작성해 본 친구들도 빠뜨린 부분은 없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기사에서 아주 중요한 것이 제목이에요. 사람들은 제목을 보고 기사를 볼 것인지 말 것인지 결정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좋은 제목은 어떻게 정하는 것일까요?
위 3가지 조건을 갖춘 제목이 좋은 제목이랍니다.
어떤 사건에 대해 기사를 쓸 때 무엇을 써야 할지 모르겠다면, 우선 ‘육하원칙(언제, 누가,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에 맞게 내용을 배열해 보세요. 객관적인 정보를 빠뜨리지 않고 작성할 수 있답니다. 특히, 체험 활동을 한 후 기사를 작성할 때는 육하원칙을 잘 지켜 주세요.
기사 내용과 관련 있는 사진과 그림을 첨부하면 기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돼요. 사용된 사진과 그림이 무엇을 설명하는지 내용을 작성해 주세요. 이때 본인이 직접 찍은 사진만 사용해 주세요, 특히, 포털 사이트에서 가져온 사진이나 그림을 사용하지 말아주세요. 저작권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기사에 오·탈자가 있다면 내용에 신뢰가 떨어지겠죠? 띄어쓰기와 맞춤법을 지키지 않은 글은 성의없게 보인답니다. 띄어쓰기와 맞춤법은 잘 작성된 기사의 기본이에요.
인터뷰를 한 모든 내용을 기사에 다 쓸 수는 없어요. 인상 깊었거나 중요해서 강조하고 싶은 내용, 독자가 궁금해 할 내용을 중심으로 인터뷰 기사를 작성해 주세요. 인터뷰 내용을 기사의 포인트로 활용해 주세요.
마지막으로 ‘나는 기자다’라는 자부심으로 어디에서든 자신감 있고 당당하게 취재하는 자세! 잊지 마세요.^^
- 01길지 않아야 해요. 한 번에 읽기 편하도록 긴 문장은 쪼개서 짧게 만들어요.
- 02쉽게 써야 해요. 영어, 한문을 사용하는 대신 순수한 우리말로 쉽게 써요.
- 03미사여구를 자제해요. ‘굉장히’, ‘매우’ 등 꾸미는 단어를 자주 쓰면 과장된 표현으로 느껴져요.
- 04적절한 용어를 선택해요. 글의 앞뒤를 보고 꼭 알맞은 단어를 찾아서 써요.
- 05문장 호응관계를 잘 지켜요. 주어와 목적어, 서술어가 서로 자연스럽게 어울려야 해요.
- 06자세히 써요. 단순히 ‘높다’가 아니라 ‘3m 높이’라고 쓴다면 정확하겠죠?
- 07같은 말은 피해요. 한 문장에 같은 단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요.
- 08글을 쓰기 전에 어떤 내용을 쓰고 싶은지 간략하게 정리해 보세요. 커다란 구성이 정해지면 글을 쓰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 09글 내용에 적합한 자료(글, 사진 등)를 활용해요. 자료의 출처는 꼭 밝혀 주세요.
- 10문단을 구분해요. 문단을 구분하면 긴 글의 지루함을 덜어 주는 효과가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