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주에서 토끼는 곧 재앙?!토끼의 두 얼굴
윤아라 기자 레벨 52019.09.081 0 -
비너스가 이렇게 탄생했다고?(비너스의 탄생)을 보다!
이주은 기자 레벨 62019.09.123 9 -
교실 천장의 무늬, 그 이유는?
송우주 기자 레벨 62019.09.132 6 -
빗소리가 나는 악기? 레인스틱
이도윤 기자 레벨 72019.09.114 16 -
우수기사
섭섭박사님과 같이 만들어요! 내가 만드는 기계, 오토마타
정시연 기자 레벨 42019.09.104 12 -
생생취재상
기차에는 왜 벨트가 없을까?
송우주 기자 레벨 62019.09.106 13 -
사라졌던 비행기가 37년후에 다시 착륙하다...- 팸 ...
곽시원 기자 레벨 52019.09.106 14 -
부가티 시론, 세계기록 달성!
곽시원 기자 레벨 52019.09.090 8 -
인기상
왜 치킨을 먹을 때 비닐장갑을 껴도 손에 기름이 묻을까요?
권예완 기자 레벨 42019.09.0815 34 -
베스트포토상
도둑게 키우기
김현승 기자 레벨 32019.09.086 11 -
우수기사
어부가 꿈이셨던 안광국 교수님과 함께한 민물고기 탐사 ...
김이현 기자 레벨 62019.09.064 11 -
생생취재상
청줄 청소놀래기 바다의 청소부
이도윤 기자 레벨 72019.09.075 9 -
베스트포토상
비전화 카페에 갔다왔어요!!!
이소율 기자 레벨 62019.08.292 4 -
선충은 어떻게 연구할까요?
강지인 기자 레벨 42019.09.050 1 -
재미있는 과천과학관!
김주하 기자 레벨 32019.08.020 0 -
광고 속 시간의 비밀
곽시원 기자 레벨 52019.09.047 7 -
5G 로봇의 선두자, 네이버랩스
곽시원 기자 레벨 52019.09.031 1 -
사건 현장에 남겨진 흔적으로 범인을 찾아라! <2...
박언빈 기자 레벨 52019.09.022 1 -
왜 다른사람이 간지럽혀야만 간지러울까?
송우주 기자 레벨 62019.09.013 1 -
서울대에서 선충 특별 강연을 듣고 왔어요~!!
임예준 기자 레벨 72019.09.010 2
기사 잘 쓰는법이
궁금해요!

기자단 친구들~!
‘기사를 작성해야지’ 마음을 다잡고 컴퓨터 앞에 앉았는데 무엇을, 어떻게 작성할지 막막할 수 있어요. 아래 내용을 보면서 기사를 작성해 봅시다! 기사를 작성해 본 친구들도 빠뜨린 부분은 없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기사에서 아주 중요한 것이 제목이에요. 사람들은 제목을 보고 기사를 볼 것인지 말 것인지 결정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좋은 제목은 어떻게 정하는 것일까요?
위 3가지 조건을 갖춘 제목이 좋은 제목이랍니다.
어떤 사건에 대해 기사를 쓸 때 무엇을 써야 할지 모르겠다면, 우선 ‘육하원칙(언제, 누가,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에 맞게 내용을 배열해 보세요. 객관적인 정보를 빠뜨리지 않고 작성할 수 있답니다. 특히, 체험 활동을 한 후 기사를 작성할 때는 육하원칙을 잘 지켜 주세요.
기사 내용과 관련 있는 사진과 그림을 첨부하면 기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돼요. 사용된 사진과 그림이 무엇을 설명하는지 내용을 작성해 주세요. 이때 본인이 직접 찍은 사진만 사용해 주세요, 특히, 포털 사이트에서 가져온 사진이나 그림을 사용하지 말아주세요. 저작권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기사에 오·탈자가 있다면 내용에 신뢰가 떨어지겠죠? 띄어쓰기와 맞춤법을 지키지 않은 글은 성의없게 보인답니다. 띄어쓰기와 맞춤법은 잘 작성된 기사의 기본이에요.
인터뷰를 한 모든 내용을 기사에 다 쓸 수는 없어요. 인상 깊었거나 중요해서 강조하고 싶은 내용, 독자가 궁금해 할 내용을 중심으로 인터뷰 기사를 작성해 주세요. 인터뷰 내용을 기사의 포인트로 활용해 주세요.
마지막으로 ‘나는 기자다’라는 자부심으로 어디에서든 자신감 있고 당당하게 취재하는 자세! 잊지 마세요.^^
- 01길지 않아야 해요. 한 번에 읽기 편하도록 긴 문장은 쪼개서 짧게 만들어요.
- 02쉽게 써야 해요. 영어, 한문을 사용하는 대신 순수한 우리말로 쉽게 써요.
- 03미사여구를 자제해요. ‘굉장히’, ‘매우’ 등 꾸미는 단어를 자주 쓰면 과장된 표현으로 느껴져요.
- 04적절한 용어를 선택해요. 글의 앞뒤를 보고 꼭 알맞은 단어를 찾아서 써요.
- 05문장 호응관계를 잘 지켜요. 주어와 목적어, 서술어가 서로 자연스럽게 어울려야 해요.
- 06자세히 써요. 단순히 ‘높다’가 아니라 ‘3m 높이’라고 쓴다면 정확하겠죠?
- 07같은 말은 피해요. 한 문장에 같은 단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요.
- 08글을 쓰기 전에 어떤 내용을 쓰고 싶은지 간략하게 정리해 보세요. 커다란 구성이 정해지면 글을 쓰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 09글 내용에 적합한 자료(글, 사진 등)를 활용해요. 자료의 출처는 꼭 밝혀 주세요.
- 10문단을 구분해요. 문단을 구분하면 긴 글의 지루함을 덜어 주는 효과가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