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키 크는 스트레칭 키 쑥쑥 자라는 스트레칭
김지현 기자 레벨 42016.01.180 1 -
우수기사
신기하고 놀라운 스마트엠베스트 세상
김준영 기자 레벨 52016.01.180 3 -
우수기사
똑똑한 공부기계! 스마트 엠베스트와 자유학기제란?
고희권 기자 레벨 52016.01.170 2 -
우수기사
누구나 즐길수 있는 가족음악극 셰익스피어의 고전을 쉽게 보다.
김혜윤 기자 레벨 52016.01.150 1 -
소인국의 채소와 과일 미니 채소와 과일
김지현 기자 레벨 42016.01.170 1 -
우수기사
멸종위기의 동물들 멸종위기동물을 도와주세요
김지현 기자 레벨 42016.01.170 8 -
우수기사
스마트엠베스트 스마트엠베스트 소개 및 활용법
유준 기자 레벨 12016.01.160 3 -
우수기사
루벤스와 세기의 거장들-1편 피터 파울 루벤스, 안토니...
민주빈 기자 레벨 52016.01.160 4 -
우수기사
광선검을 만들 수 있다고? 광선검 만들기
임준영 기자 레벨 42016.01.161 16 -
우수기사
'미니자인언트3D'영화시사회를 다녀와서 치열한 삶의 전...
유연우 기자 레벨 62016.01.150 2 -
우수기사
현수교와 자이로드롭의 너희들의 진짜 정체는? 현수교와 ...
손다인 기자 레벨 52016.01.130 4 -
대구 시민 안전 테마파크 대구 시민 안전 테마파크 2관
조유림 기자 레벨 42016.01.110 1 -
맥포머스-2 기초부터
윤준서 기자 레벨 32016.01.110 0 -
병신년(丙申年)의 동물인 원숭이 원숭이에 대해 알아보자!
임준영 기자 레벨 42016.01.070 2 -
맥포머스 단순형태 사각자석부터 라디오컨트롤 로봇까지
윤준서 기자 레벨 32016.01.091 0 -
경주여행-동궁과 월지
윤준서 기자 레벨 32016.01.060 0 -
우수기사
no.1 - 블롭피쉬의 탐사기록 바다에서 제일 신기하고...
김진희 기자 레벨 12016.01.050 20 -
우수기사
1차 기자교육 ["섭섭박사의 진로 특강 ‘나는 기자다!...
이용현 기자 레벨 52016.01.040 5 -
년의 이름
전규현 기자 레벨 32016.01.011 1 -
우수기사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3회 파주 장릉을...
윤관우 기자 레벨 52015.12.150 1
기사 잘 쓰는법이
궁금해요!

기자단 친구들~!
‘기사를 작성해야지’ 마음을 다잡고 컴퓨터 앞에 앉았는데 무엇을, 어떻게 작성할지 막막할 수 있어요. 아래 내용을 보면서 기사를 작성해 봅시다! 기사를 작성해 본 친구들도 빠뜨린 부분은 없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기사에서 아주 중요한 것이 제목이에요. 사람들은 제목을 보고 기사를 볼 것인지 말 것인지 결정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좋은 제목은 어떻게 정하는 것일까요?
위 3가지 조건을 갖춘 제목이 좋은 제목이랍니다.
어떤 사건에 대해 기사를 쓸 때 무엇을 써야 할지 모르겠다면, 우선 ‘육하원칙(언제, 누가,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에 맞게 내용을 배열해 보세요. 객관적인 정보를 빠뜨리지 않고 작성할 수 있답니다. 특히, 체험 활동을 한 후 기사를 작성할 때는 육하원칙을 잘 지켜 주세요.
기사 내용과 관련 있는 사진과 그림을 첨부하면 기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돼요. 사용된 사진과 그림이 무엇을 설명하는지 내용을 작성해 주세요. 이때 본인이 직접 찍은 사진만 사용해 주세요, 특히, 포털 사이트에서 가져온 사진이나 그림을 사용하지 말아주세요. 저작권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기사에 오·탈자가 있다면 내용에 신뢰가 떨어지겠죠? 띄어쓰기와 맞춤법을 지키지 않은 글은 성의없게 보인답니다. 띄어쓰기와 맞춤법은 잘 작성된 기사의 기본이에요.
인터뷰를 한 모든 내용을 기사에 다 쓸 수는 없어요. 인상 깊었거나 중요해서 강조하고 싶은 내용, 독자가 궁금해 할 내용을 중심으로 인터뷰 기사를 작성해 주세요. 인터뷰 내용을 기사의 포인트로 활용해 주세요.
마지막으로 ‘나는 기자다’라는 자부심으로 어디에서든 자신감 있고 당당하게 취재하는 자세! 잊지 마세요.^^
- 01길지 않아야 해요. 한 번에 읽기 편하도록 긴 문장은 쪼개서 짧게 만들어요.
- 02쉽게 써야 해요. 영어, 한문을 사용하는 대신 순수한 우리말로 쉽게 써요.
- 03미사여구를 자제해요. ‘굉장히’, ‘매우’ 등 꾸미는 단어를 자주 쓰면 과장된 표현으로 느껴져요.
- 04적절한 용어를 선택해요. 글의 앞뒤를 보고 꼭 알맞은 단어를 찾아서 써요.
- 05문장 호응관계를 잘 지켜요. 주어와 목적어, 서술어가 서로 자연스럽게 어울려야 해요.
- 06자세히 써요. 단순히 ‘높다’가 아니라 ‘3m 높이’라고 쓴다면 정확하겠죠?
- 07같은 말은 피해요. 한 문장에 같은 단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요.
- 08글을 쓰기 전에 어떤 내용을 쓰고 싶은지 간략하게 정리해 보세요. 커다란 구성이 정해지면 글을 쓰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 09글 내용에 적합한 자료(글, 사진 등)를 활용해요. 자료의 출처는 꼭 밝혀 주세요.
- 10문단을 구분해요. 문단을 구분하면 긴 글의 지루함을 덜어 주는 효과가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