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인 우리 옷, 한복

2020.11.25

 안녕하세요? 임하엘 기자 입니다. 

 여러분들은 우리 나라위 전통옷, 한복에 숨겨져 있는 과학에 대해 아시나요? 지금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한복 주름의 비밀



  양복은 보관할 때 옷에 걸어서 보관합니다. 개어서 보관하면 옷이 구겨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한복은 개서 보관할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양복과 달리 한복은 평면적으로 만들어져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평편적인 한복도 사람이 입으면 입체적으로 살아납니다. 이런 기능을 하는 것이 바로 주름입니다. 

 (사진출처: 네이버 블로그 veniB님)

옷감 한쪽에 주름을 잡으면 볼록한 모양의 옷이 만들어지는데 이런 옷은 활동하기가 편합니다. 전쟁 때 말을 타고 싸워야 하는 장수들에겐 이런 옷이 편했습니다.



양반 다리로 앉아도 편한 한복의 바지



서양은 의자에 앉지만 우리나라는 방비닥에 앉습니다. 오래 앉아있는 우리나리 사람들은 옷이 편해야 했습니다. 특히 바지는 앉아도 찣어지거니 당김 없이 폭이 넓고 신축성도 좋아야 했습니다.

 한복 바지를 펼쳐놓으면 옷감이 모두 7개로 나뉘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중 중요한 부분은 다리 사이 가랑이 부분에 해당하는 큰사폭과 작은사폭 두 조각입니다. 이 옷감은 다리를 앞두로 움직일 때 당기는 힘이 각각 사선 방향으로 작용하게 해줍니다. 

 오른쪽 다리를 움직이면 왼쪽 옷감이 사선방향으로 늘어나고, 왼쪽 다리를 움직이면 오른쪽 옷감이 사선 방향으로 늘어납니다. 양반 다리로 앉을 때도 당기는 힘이 사선 방향으로 작용하면서 옷감이 늘어나는 것입니다.



(출처 황금타래한복 님)



구멍이 뚤린 모자 

 조선시대의 모자는 아무리 두꺼운 겨울 모자라도 구멍이 뚤려있습니다. 그 이유는 우리 조상들이 생각한 과학 원리인 머리는 차게, 발은 따뜻하게와 관련이 있습니다. 구멍이 뚤린 모자는 사람들이 추위를 느끼는 얼굴과 이마, 목은 따뜻하게 가려주면서 머리 위쪽으로 열이 빠져나가도록 만든 것입니다.



 한복에는 이렇게 많은 과학 원리가 숨어있습니다. 그러니 우리는 우리의 옷, 한복에 자부심을 느껴도 되겠지요?

 지금까지 임하엘 기자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20.11.25

요즘은 명절이나 특별한 일이 있을 때만 입죠. 우리나라 전통 옷 한복을 알면 알수록 신기하고, 하엘 기자의 글처럼 과학적인 원리도 많이 있다는 걸 알 수 있어요. 한복의 과학적인 특징을 잘 정리해주었어요. 몇 군데 띄어쓰기 실수한 곳은 수정해서 밑줄로 표시해 두었으니까 확인하길 바랄게요.

[전쟁때] → [전쟁 때], [알수] → [알 수], [움직일때] → [움직일 때], [않을때도] → [앉을 때도]

목록보기

댓글 6
구체적이라서 이해하기가 쉬웠어요! 추완이요!
유익해요!
추완입니당^^
한복이 과학적이었다니! 유익 해요!  추천합니당~~^^
한복에 알게 되어 좋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