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수학동아 기사
비행기구름은 왜 생기는 걸까??
안녕하세요!! 이해준 기자입니다. 여러분은 맑은 날, 파란 하늘에 선명한 하얀 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비행기를 본 적이 있나요??
비행기가 지나간 자리에 만들어진 가늘고 긴 구름을 비행기구름이라고 한는데요. 비행기구름은 왜 생기는 걸까요??
그래서 이번에는 비행기구름이 왜 생기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바닷물이나 강물처럼 땅 위에 있는 물은 햇볕을 받아 뜨거워지면 증발이 되서 수증기가 돼는데요. 그래서 공기 중에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지만 많은 양의 수증기가 있어요. 그런데 이 수증기는 공기를 따라 이동하며 주변의 환경에 따라 변하게 되는데요. 비행기구름이 왜 생기는지 알아볼려면 먼저 공기중의 수증기는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봐야 합니다. 그렇다면 공기중의 수증기는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볼까요??
얼음이 든 컵을 실내에 놓아두면 컵 표면에 작은 무방울들이 맺힌 것을 본 적이 있나요?? 그 이유는 공기 중에 있던 수증기가 컵의 차가운 표면에 닿아 냉각되면서 물방울이 생긴 건데요. 이렇게 공기 중의 수증기가 냉각되어 물로 변하는 현상을 응결 이라고 하는데요. 지구에 존재하는 구름, 안개, 비 등이 수증기가 응결하여 생긴 물인데요. 그럼 자세히 살펴볼까요?
지금은 겨울이지만 더운 여름날을 한번 생각해 보세요. 태양으로 부터 열을 받게 되면 지구의 지표면 가까이에 있는 공기가 데워져서 따뜻한 공기는 차가운 공기보다 가벼워 위로 상승하게 되는데요. 높이 올라갈수록 부피가 팽창하면서 기온이 낮아지기 때문에 하늘 높이 올라간 공기 중의 수증기는 응결해서 물방울로 변하게 되는데요. 이렇게 공기 중의 물방울들이 모여 하늘 높이 떠 있는 것이 바로 구름인데요.
비행운도 구름과 마찬가지로 수증기가 응결해 물방울로 변해서 공중에 떠 있는 건데요. 비행기는 날아가면서 연료가 탈 때 생기는 배기가스를 뒤로 내뿜는데요. 이 배기가스 속의 수증기가 하늘 높은 곳에서 찬 공기를 만나면 물방울이 되는 겁니다.
비행기구름이 왜 생기는지 평소 궁금했던 기자님들은 이 기사를 참고해 주시면 될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이해준 기자였습니다. 안녕~ (추천 해주신 분은 포방)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21.01.07
<비행기구름은 왜 생기는 걸까??>라는 구체적인 질문형 제목으로 호기심을 자극하네요. 그리고 누구나 한 번쯤은 본 적이 있을 비행기구름의 원리를 잘 설명해주었어요. ^^
마지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