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신은 뇌 과학이다?

2024.12.01

안녕하세요? 조윤홍 기자입니다. 위에 있는 사진을 보신적있나요? 매우 생소한 사진이죠. 이 사진은 경매에서 한화로 약3,300 만원에 팔렸어요. 우연히 이런 모습으로 구워졌는데 경매에서 어마어마한 가격으로 팔렸어요. 빵만 잘 태워도 부자가 될수있네요.



그럼 이제 단도입적으로 물어볼게요. 미신은 과학이라고 생각하나요? 김다인 기자님의 미신은 시험날 미역국 안 먹기입니다. 저는 실제로 시험날 미역국을 먹고도 100점을 맞아서 별로신경을 안 씁니다만,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믿거나 안 믿기도 하죠.



미신이 어떻게 해서 만들어지는지 밝혀내기위해 지구의 스키너라는 심리학자가 진행한실험이 있어요. 그는 배고픈 비둘기 여덟 마리를 새장에 넣고 15초마다 자동으로 먹이를 주는 기계를 설치했어요.시간이 조금 지나자, 그중 여섯마리의 비둘기가 특정행동을 반복하기 시작했어요. 어떤 비둘기는 머리를 흔들었고, 어떤 비둘기는 바닥을 부리로 쪼려고했어요. 먹이가 나온 순간 비둘기들이 하고 있던 행동은 실제 먹이가 나오는 조건과 아무 상관이 없었지만, 비둘기들은 그 순간 우연히 하고있던 행동이 먹이를 나오게 했다고 생각하고 이를 패턴화를 했다. 만약 이 비둘기가 사람이었다면 어떤 행동을 했을까요?



사람들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미신을 형성해요. 인과관계가 없는 두가지 사건에서 우연한기회에 패턴을 찾으면, 이 패턴에 미신적 이유를 만들어 붙인다고해요. 물론 이렇게 만들어진 미신을 무조건 다 믿는 것은 아니지만, 믿는다고 해서 손해 볼것은 없기 때문에, 미신적 패턴은 계속 유지되요. 손금이 길면 오래산다. 이 말이 진짜일까요? 아니에요. 위 사진처럼 줄마다 다 다른 의미를 가지고있어요. 2019년 해부학자들의 논문에따르면 둘 사이에는 아무 관계가 없었다고해요. 손금은 유전적 성격이 강하며, 사람들의 운명을 설명해주지는 못 해요. 여러분도 손금의 줄이 짧다고 걱정하지마세요. 오래사니까요.



사람들의 뇌에는 패턴에 얼마나 의미를 부여할것인지, 패턴이 적절한지 아닌지 판단하는 영역이있어요.바로 전대상회피질과 전전두엽 이에요. 무차별적으로 생성되는 패턴을 골라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이랍니다. 패턴을 잘 사용하는 사람들의 뇌에는 두 영역이 매우 뛰어나서 포괄적으로 패턴을 찾아내면서도 무엇이 유용한 패턴인지 선별할 줄 아는것으로 밝혀져있어요.



이젠 여러분은 미신이 과학이라고 할 수 있겠나요?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24.12.04

보통 우리가 <미신>이라고 부르는 것은 과학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지만, 사람들이 그렇게 믿는 것을 말하지요. 과학이라고 볼 수 없지만, 사람들의 불안한 심리 때문에 많은 경험을 토대로 그렇게 믿고자 하는 것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이런 사람들의 미신을 믿는 심리를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는 있을 것 같네요. 사람들이 어떤 이유로 미신을 믿는지를 연구해 볼 수도 있지 않을까요? 미신에 대한 윤홍 친구의 생각은 어떤지도 궁금하네요.

목록보기

댓글 8



감사합니다!

처음 알았어요! 정말 유익해요  :)

어멋!!그러셨다구요?(캬하하하힣히(좋아서 기절))

윤홍 기자님, 이번 기사에서는 미신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작성해 주셨네요! 

특히 스키너의 비둘기 실험을 통해 사람들이 미신을 믿는 이유를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주셨어요! 

사람들이 흔히 믿는 미신의 뒷배경에 이렇게 많은 과학적 요소가 숨어 있다는 걸 알게 되어,

다른 친구들도 미신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해 볼 기회가 되었을 것 같아요.

미신에 과한 과학적이고도 재미있는 기사를 써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또 어떤 주제로 기사를 작성해 줄지 기대할게요! ^^

제가 달았던 답글 내용이 실려서 기뻐요! 

유익한 기사 감사합니다~! :)

네~참여 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