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2216편 무안공항 참사, 사고 원인은?

2025.01.18

안녕하세요. 정민성 기자입니다. 오늘은 제주항공 2216편 사고를 써볼까 합니다.

정확히 2024년 12월 29일 오전 9:03분, 제주항공 2216편 여객기가 동체 착륙 중 로컬바이저에 충돌하여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사망하여 엄청난 재앙을 만들었습니다. 아래 사진은 1년 전 사고기 사진입니다.

(출처:워키백과)

그리고 이 항공기는 기령 15년입니다.

사고 당시 화재 진압이 모두 완료되었을때 모습(출처: 워키백과)

많은 사람들은 버드 스트라이크, 짧은 활주로, 부서지지 않는 로컬바이저가 원인이라고 합니다. 이상한 건 무안공항 활주로는 2800m인데 울릉공항의 2.3333333333...배입니다. 그건 긴 거 아닌가요? 어쨌든 한 사람이 보낸 카톡, 엔진서 발견된 깃털로 버드 스트라이크는 확실합니다. 로컬바이저는 잘 부서지는 콘크리트로 제작해야 하지만 무안공항에서는 콘크리트가 부서지지 않아 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리고 미국서 조종실 녹음 장치 CVR을 들어본 결과 마지막 4분이 녹음되지  않았습니다. 여러분의 사고 원인은 무엇인가요? 버드 스트라이크? 짧은 활주로? 부서지지 않는 로컬바이저? 댓글로 남겨주세요! 지금까지 경산알리미 정민성 기자였습니다.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25.01.21

작년 12월 말에 정말 안타까운 사고가 있었죠. 믿을 수 없을 만큼의 많은 인명 피해가 있었는데요. 사고의 원인은 계속해서 밝혀내는 중이라고 하죠. 앞으로는 절대 이런 일이 없길 바라며, 유가족들에게 위로가 있길 바랍니다.

목록보기

댓글 22

정확한요인은 동체착륙(바퀴없이 몸통만 착륙하는것) 실패 버드스트라이크(새와 부딧치는것) 경로 설정 실패(반대쪽은 콘크리트 벽이없어 그쪽으로 착륙했다면 살았을 수도.....)등등 이런 요인이 동시에 발생해서 생긴 일이지만 이런우연이 이렇게나 많은 사람들에 목숨을 앗아가다니... 이제부터 제주항공 타격 많이 받겠네요 작은 사고를 계속내고 그때까지는 사상자가없었지만 지금은 90가 사망했으니.... 제주항공  이제 않타겠네요.

조종사님이 바퀴가 안 내려와도 잘 착륙해 주셨다만... 콘크리트 벽만 없었으면 전부 다 살았을 거라네요.

그렇죠

무안한공 희생자들에게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인천공항 3번 활주로의 길이인 3950미터에 비하면 짧ㅅ,ㅂ니다

울릉공항의 2배가 넘으니까 긴거 아닌가요?

제 생각엔  콘크리트 둔덕 때문에 사고가 난 것 같습니다.

그렇죠?

이 사고기는 제주항공의 언급과 다르게 사고가 난 적이 있습니다


언제요?

먼저 사고기인 b737-800은 유압식 바퀴를 사용하기에 버드스트라이크가 일어나도 바퀴가 작동합니다. 또한 usairways 1549편처럼 물에 비상착수 할 수 있어다는 판단도 있습니다. 또한 1차 착륙 고어라운드 전에 마킈가 내려와있었다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이 내용도 기사에 넣어주셨으면 합니다.

넵! 리메이크 해보겠습니다!

안녕하새요 송한결 기자님 저 항공기 덕후 이선우 기자입니다. 궁금하신거 있으시면 제 포폴에 믈어봐주새요

저 송한결 기자 아닌데요

무안은 철새도래지일텐데 어떤 사람이 왜 공항을 지은 걸까요...

무안공항의 목표는 "동남아 허브공항"입니다. 위치와 완전 안 어울립니다


그리고 추가로 2명은 태국인입니다

ㅠㅠ

사망자 중으로요

버드스트라이크가 일어나지 않았다면 이런 일도 없을텐데요.ㅠㅠ

아쉽네요요저는 버드 스트라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