잼을 바른 식빵은 왜 항상 잼이 있는 쪽으로 떨어질까???

2025.02.12

일이 잘풀리지 않고 꼬여가는 경우를 머피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잼을 바른 식빵이 잼을 바른쪽으로 떨어지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식빵의 크기 



2.식탁의 높이



3. 식빵을 잡아당기는 중력 



4. 처음 위치에서 떨어진 각도



식빵이 땅으로 떨어질 때 수평으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 보통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떨어지기 떄문에회전하면서 떨어집니다. 식빵의 크기와 초기 위치에서 떨어지는 각도가 식빵의 회전 운동을 결정합니다. 식탁은 보통 사람의 키와 맞춰서 만들므로 그 높이는 약 1m 정도 입니다. 식빵을 잡아당기는 중력과 식탁의 높이는 떨어지는데 걸리는 시간에 영향을 줍니다. 또한, 중력은 식빵을 회전 시키는 힘에도 영향을 줍니다. 보통 식탁 위에서 떨어진 식빵이 바닥에 닿을 때까지 대략반바퀴 돌수 있답니다. 그래서 빵은 약 반 바퀴 회전하면서 떨어지기 때문에 잼을 바른 쪽이 바닥에 닿는 것입니다.(출저:안썜의 수 과학 융합 특강) (출처: https://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301132.html)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25.02.13

식빵이 바닥으로 떨어지면 잼을 바른 부분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왜 더 많을까? 일상에서 일어나는 일을 과학적으로 증명해 본 흥미로운 연구죠. 꽤나 유명하기 때문에 과학 교양서에서도 많이 소개되기도 하는데요. 일상에서 일어나는 일에 호기심을 가지고, 그것을 과학적인 실험을 통해 증명해 보려는 시도가 무척 신선하다고 생각하게 되는데요. 어린이 친구들도 일상에서 궁금한 것을 왜 그럴까? 정말 그럴까? 하는 질문으로 확인을 해본다면 어린이 과학자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 ^^

목록보기

댓글 2


예성 기자님~ 일상에서 벌어지는 흥미로운 주제로 기사를 작성하셨군요!
잼을 바른 식빵이 떨어지는 사소한 일에도 과학적 원리가 담겨 있지요. 
어과수 기자단 친구들도 앞으로 식빵을 먹을 때마다 예성 기자님의 기사를 떠올리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일상 속 재미난 과학 이야기들을 팝콘플래닛에 전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