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수학동아 기사
별의 밝기가 다른 까닭
도시에서는 빛공해로 인해 별을 보기 힘듭니다. 그런데 목이 아픈 걸 꾹 참고 집중해서 밤하늘을 보면 눈에 띄는 별 몇 개가 보입니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찾아보면 스피카, 아크투르스, 시리우스, 베가, 알타이르 등의 이름이 나오기도 합니다. 그런데 우주에 있는 수많은 항성들의 밝기는 어떻게 구별할까요?
>>서로 밝기가 다른 밤하늘의 별들(직접 촬영)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히파르코스는 별의 밝기에 등수를 매겼습니다. 가장 밝게 잘 보이는 별을 1등성, 희미해서 맨눈으로 간신히 보이는 별을 6등성이라고 정해서 잘 보이는 정도에 따라 여섯 단계로 나누었습니다.
1830년, 영국의 천문학자 존 허셜은 히파르코스가 정한 1등성과 6등성 별의 밝기가 약 100배 정도 차이 난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6등급이 전구 1개라면 1등급은 전구 100개라는 거죠. 존 허셜은히파르코스가 눈으로 보아 나눈 '등성' 대신 별의 밝기를 숫자로 표현할 수 있는 '등급'으로 별의 밝기를 나타냈습니다. 1등급과 6등급의 밝기 차이는 100배고 5등급과 6등급의 밝기 차이는 2.5배입니다.
보름달이 뜬 밤에 스마트폰의 손전등 기능을 켜면 보름달보다 손전등이 더욱 밝아 보입니다. 그 까닭이 무엇일까요? 보름달보다 손전등이 더욱 가깝기 때문에 손전등이 더 밝은 것입니다. 별들의 밝기가 다른 이유도 이와 같습니다. 거리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별의 밝기가 다른 또 다른 이유도 있습니다. 별의 실제 밝기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또 별의 실제 밝기는 별의 크기, 온도, 나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별의 실제 밝기(절대 등급)를 안다면 그 별의 온도, 크기, 나이 등을 알 수 있으므로 천문학자들은 지구에서 보는 별의 밝기(겉보기 등급)보다 별의 실제 밝기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집니다. 과학자들이 별들의 진짜 밝기를 비교할 수 있도록, 모든 별이 같은 거리(약 32.6광년)에 있다고 가정하고 밝기를 측정한 것을 절대 등급이라고 합니다. 예시로 태양의 겉보기 등급은 -26.74등급이고 절대 등급은 4.83등급,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1AU(천문단위, 150000000km)입니다.
별의 밝기는 무한한 우주에 있는 별들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 수 있는 열쇠입니다.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25.03.25
도시에서 별을 보기가 쉽지 않은데요. 도심을 벗어나 공기가 깨끗한 교외로 나가면 비교적 별을 많이 볼 수 있어요. 별 중에 더 반짝이는 별도 있고 덜 빛나는 별이 있는 건 별마다 거리도 밝기도 다르기 때문이죠. 별의 밝기를 어떻게 나누는지, 또 별의 밝기에는 별 본연의 밝기를 나타내는 절대적 등급이 있고, 지구에서 바라보는 별의 밝기가 있다는 점도 잘 설명해 주었습니다. 다만, 글만으로 이해하는 것이 조금 어려울 수 있기때문에 이해에 도움이 되는 원리 그림이 있다면 좀 더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 같네요. ^^
생각보다 별의 밝기가 많네요!!!!!
별에 관심을 갖게 되었어요!!! 너무 감사합니다
별의 밝기가 다른것은 알았는데 이렇게 많을줄 몰랐어요
별의 밝기가 다르다는 것은 알았는데 많은 것을 알게되었어요.
별의 밝기가 실제 밝기(절대 등급)와 지구에서 보이는 별의 밝기(겉보기 등급)으로 나뉜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소율 기자님~ 별의 밝기가 다른 이유는 공부하셨군요!
별의 절대 등급과 겉보기 등급부터 실제 밝기를 결정하는 요소까지 꼼꼼하게 잘 정리해 주었습니다!
저는 강원도에 여행 가서 별을 보는 것을 좋아하는데요~
소율 친구도 산과 바다로 여행 가서 별을 관찰하길 바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