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018.08.24

안녕하세요 강민서기자입니다.

저는 어떻게 돈이 만들어지는지 궁금해서 궁금증을 풀어보려고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시작할까요?



 





출처:Pixabay





돈이란?

사람들이 물건이나 서비스를 살 때 주고받는 것을 돈이라고 합니다.



돈의 역사!

옛날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사람들은 직접 자기가 만들어 쓰거나 마을 사람들과 물건을 바꾸어 쓰기도 합니다.

이것을 물물교환이라고 하는데요.

사람들이 직접 만드는 것은 힘들어서 마을 사람들과 물물교환을 했답니다.

사람들은 불편해서 엽전을 쓰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것도 불편하고 무거워서 지폐를 사용했답니다.



21세기의 돈!

오늘날 물건의 대가를 지급하는 방법으로는 현금 말고도 수표, 직불카드, 신용카드 등 많이 있습니다.



돈 만드는 과정!

1.특별한 종이 만들기!

돈을 만드는 종이는 목화솜으로 만든 면입니다.면을 이용해 특수한 종이를 만들고,여기에 숨은 그림과 복잡한 그림을 만듭니다.

2.무늬와 모양 그려 넣기!

돈의 크기, 돈의 넣을 그림과 색깔을 정합니다.

3.그림판 만들기!

다 그려진 그림을 인쇄판에 옮겨 새김니다.이때 판은 2개를 만드는데, 하나는 종이돈의 바탕 무늬나 반복되는 무늬를 인쇄하는 판이고, 또 하나는 위조 방지 장치를 인쇄하는 판입니다.

4.인쇄하기!

완성된 인쇄판으로 특별한 종이에 인쇄를 합니다. 종이에 바탕 무늬를 수놓고, 인물이나 그림을 찍어냅니다. 보는 방향에 따라서 색과 그림이 달라 보이는 홀로그램을 넣습니다.

5.검사하기!

인쇄한 종이를 꼼꼼하게 검사를 합니다.인물 그림이나 글자, 색 등이 잘못 인쇄된 것은 없는지 검사를 합니다.그리고 인쇄된 종이를 똑같은 크기로 자릅니다.

6.한국은행으로 보내기!

이렇게 다 만들어진 돈은 한국은행으로 보냅니다.



이렇게 돈은 8번의 과정을 거쳐 돈 (지폐)을/를 만듭니다.

돈은 위대하다!!!!

이상입니다.감사합니다.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18.08.26

민서 기자, 돈의 역사부터 만들어지는 과정을 잘 정리해 주었네요. 요즘은 직접 화폐를 쓰지 않고 다양한 방법이 화폐를 대신하는 경우가 많지요. 거기에 첨단 과학 기술이 쓰이기도 하고요. 어과동 기사에서도 돈에 들어간 첨단 과학기술에 대해 다룬 적이 있었어요. ^^ 오늘은 돈이 만들어지는 과정까지 조사해서 정리해 주었는데, 미래의 화폐에 대해서도 조사해 추가하면 더 풍성한 글이 될 것 같아요. ^^

몇 군데 맞춤법 실수는 수정해서 밑줄로 표시해 두었으니까 확인하길 바랄게요.
[하는대요] → [하는데요], [잘릅니다] → [자릅니다]

목록보기

댓글 5
오~
재미있는 기사에 사진이 없어서 추가해 두었어요~!
돈을 만드는 과정은 8번 과정이 아니라 6번 과정입니다.^^
6과정 아닌가요?
네 맞습니다 틀린 점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