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수학동아 기사
우주에서 온 신비한 손님, 혜성
안녕하세요! 유지민 기자입니다. 오랜만에 기사를 쓰네요.
이번 기사를 쓰게 된 계기는 학교 조사 숙제를 하다 혜성에 관심이(조금) 갔고, 그리고 어과동 기자님들께서도 혜성을 알려드리면 좋겠다고 생각해 이 기사를 쓰게 되었습니다.
-혜성에 대하여
혜성은 우리나라 말로 살별이라고도 하며 태양이나 큰 질량을 가진 천체에 대하여 타원 또는 포물선 궤도를 가지고 도는 작은 천체를 의미합니다.
-혜성의 구조
혜성은 코마라고 불리는 혜성의 대기와 핵, 그리고 두 가지의 꼬리를 갖고 있습니다.
혜성의 대기인 코마는 주성분인 기체와 먼지로 이루어져 있고, 혜성의 핵은 먼지와 얼음이 섞여 있으며 겉은 먼지가 섞인 얼음층이 싸고 있습니다. 혜성의 꼬리에는 먼지꼬리와 이온꼬리가 있는데, 먼지꼬리는 혜성이 궤도를 돌 때 받는 태양의 복사열 즉 압력으로 인해 코마의 먼지들이 흩어지기 때문에 생깁니다. 이온꼬리는 태양 반대쪽으로 이온분자들이 밀려나가며 생깁니다. 하얀 것이 먼지꼬리, 파란 것이 이온꼬리입니다. 꼬리들은 주로 태양 반대쪽으로 생깁니다.
-혜성의 주기
혜성의 주기는 3년부터 6000000년 정도까지 무척 다양한데요, 이번 기사에서는 몇 가지만 다루겠습니다.
먼저 궤도주기가 200년 이하인 혜성을 단주기 혜성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궤도주기가 200년 이상이라면 장주기 혜성이라고 합니다. 주기가 긴 혜성일수록 궤도가 더 넓습니다.
_단주기 혜성
엥커 혜성, 3.3년. 가장 주기가 짧은 혜성입니다.
홈즈 혜성, 7년. 관측할 때 밝기가 갑자기 밝아집니다.
핼리 혜성, 75.3년(단주기 혜성이라고는 하지만 그다지 짧지가 않습니다) 가장 많이 알려진 혜성입니다.
_장주기 혜성
러브조이 혜성, 622년. 2011년에 왔었다네요.
이-스완 혜성, 9,600~11,453년. 우리나라 사람이 발견한 혜성입니다.
하쿠타케 혜성, 113,000년.
대망의 마지막 순서!
웨스트 혜성! 주기가 무려 최대 6,500,000년이나 된다고 합니다.
이 혜성이 돌아왔을 때 이 혜성을 관측할 인류는 과연 존재하고 있을까요?
어땠나요? 재미있었나요? 다음에도 기사로 돌아올게요. 안녕히 계세요.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블로그(이과))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19.05.27
지민 기자, <우주에서 온 신비한 손님, 혜성>이라는 제목의 글 잘 봤어요. 제목을 잘 지어주었네요. 우주에서 온 신비한 손님이라는 표현이 참 와닿았어요. 혜성에 대해 조사하고 공부하면서 알게된 내용을 잘 정리해주었어요. 혜성이 무엇인지, 또 구조와 독특한 혜성을 소개하는 등 혜성에 대한 내용을 잘 정리해주었는데, 글의 마지막이 조금 어색하네요. "이 혜성이 돌아왔을 때 이 혜성을 관측할 인류는 과연 존재하고 있을까요?"라는 질문 뒤에 갑자기 글이 마무리되어서 글이 조금 어색했어요. 지민 기자는 혜성을 주제로 한 글을 쓰면서 친구들에게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었나요? 또 혜성에 대해 공부하고 조사하면서 어떤 생각을 하게 됐나요? 이런 질문의 대답이 글의 마지막에 들어갔다면 좀 더 자연스러운 글이 되었을 것 같네요. ^^ 다음 기사를 쓸 때는 글의 도입, 본론, 결론을 생각하며 글을 써 보길 바랄게요.
마지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