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스트포토상
병아리 부화 - 1탄 부화.
이정환 기자 레벨 42020.06.0817 49 -
베스트포토상
오레오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이경환 기자 레벨 62020.06.0216 26 -
베스트포토상
우리 집 마당
정다현 기자 레벨 32020.05.222 8 -
베스트포토상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집에 농장 만들기
손윤호 기자 레벨 52020.05.182 4 -
베스트포토상
국내 최대 조류관찰지 어청도 방문기
안서진 기자 레벨 52020.05.084 9 -
베스트포토상
중앙공원을 갔다가 토끼와 청솔모를 봤어요!!
임세민 기자 레벨 52020.05.032 15 -
베스트포토상
새로운 하늘색 봄꽃 : 꽃받이와 선개불알풀
권은세 기자 레벨 62020.05.011 10 -
베스트포토상
똑똑! 양재천에 놀러온 친구들 2: 왜가리
정호윤 기자 레벨 42020.04.181 12 -
베스트포토상
섭섭 박사님의 메이커 스쿨 - 시연 파크에 놀러오세요
정시연 기자 레벨 42020.04.1813 34 -
베스트포토상
마음까지 달콤한 딸기 탕후루 만들기 !
박정옥 기자 레벨 62020.04.1229 60 -
베스트포토상
달팽이
김규원 기자 레벨 32020.04.048 29 -
베스트포토상
한국의 멸종위기 1급 민물고기
김세령 기자 레벨 42020.03.279 15 -
베스트포토상
하늘색 봄꽃, 꽃마리와 큰개불알꽃
권은세 기자 레벨 62020.03.165 9 -
베스트포토상
청개구리 키우기!
김민재 기자 레벨 32020.03.092 35 -
베스트포토상
다시 하얀 이로 돌아가고 싶다면?!
김이수 기자 레벨 72020.03.0336 93 -
베스트포토상
우리가 쉽게 볼 수 없는 바다생물들
최소선 기자 레벨 22020.02.235 17 -
베스트포토상
원조판다 레서판다를 알아보자!
조은정 기자 레벨 42020.02.189 42 -
베스트포토상
마음을 전하는 달콤한 초코스틱 만들기 !
신주원 기자 레벨 72020.02.1417 46 -
베스트포토상
섭섭박사님의 메이커 스쿨-3D 펜
박우영 기자 레벨 62020.02.042 7 -
베스트포토상
논산 션샤인랜드를 갔다온 후
양태웅 기자 레벨 52020.01.284 6
기사 잘 쓰는법이
궁금해요!

기자단 친구들~!
‘기사를 작성해야지’ 마음을 다잡고 컴퓨터 앞에 앉았는데 무엇을, 어떻게 작성할지 막막할 수 있어요. 아래 내용을 보면서 기사를 작성해 봅시다! 기사를 작성해 본 친구들도 빠뜨린 부분은 없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기사에서 아주 중요한 것이 제목이에요. 사람들은 제목을 보고 기사를 볼 것인지 말 것인지 결정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좋은 제목은 어떻게 정하는 것일까요?
위 3가지 조건을 갖춘 제목이 좋은 제목이랍니다.
어떤 사건에 대해 기사를 쓸 때 무엇을 써야 할지 모르겠다면, 우선 ‘육하원칙(언제, 누가,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에 맞게 내용을 배열해 보세요. 객관적인 정보를 빠뜨리지 않고 작성할 수 있답니다. 특히, 체험 활동을 한 후 기사를 작성할 때는 육하원칙을 잘 지켜 주세요.
기사 내용과 관련 있는 사진과 그림을 첨부하면 기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돼요. 사용된 사진과 그림이 무엇을 설명하는지 내용을 작성해 주세요. 이때 본인이 직접 찍은 사진만 사용해 주세요, 특히, 포털 사이트에서 가져온 사진이나 그림을 사용하지 말아주세요. 저작권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기사에 오·탈자가 있다면 내용에 신뢰가 떨어지겠죠? 띄어쓰기와 맞춤법을 지키지 않은 글은 성의없게 보인답니다. 띄어쓰기와 맞춤법은 잘 작성된 기사의 기본이에요.
인터뷰를 한 모든 내용을 기사에 다 쓸 수는 없어요. 인상 깊었거나 중요해서 강조하고 싶은 내용, 독자가 궁금해 할 내용을 중심으로 인터뷰 기사를 작성해 주세요. 인터뷰 내용을 기사의 포인트로 활용해 주세요.
마지막으로 ‘나는 기자다’라는 자부심으로 어디에서든 자신감 있고 당당하게 취재하는 자세! 잊지 마세요.^^
- 01길지 않아야 해요. 한 번에 읽기 편하도록 긴 문장은 쪼개서 짧게 만들어요.
- 02쉽게 써야 해요. 영어, 한문을 사용하는 대신 순수한 우리말로 쉽게 써요.
- 03미사여구를 자제해요. ‘굉장히’, ‘매우’ 등 꾸미는 단어를 자주 쓰면 과장된 표현으로 느껴져요.
- 04적절한 용어를 선택해요. 글의 앞뒤를 보고 꼭 알맞은 단어를 찾아서 써요.
- 05문장 호응관계를 잘 지켜요. 주어와 목적어, 서술어가 서로 자연스럽게 어울려야 해요.
- 06자세히 써요. 단순히 ‘높다’가 아니라 ‘3m 높이’라고 쓴다면 정확하겠죠?
- 07같은 말은 피해요. 한 문장에 같은 단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요.
- 08글을 쓰기 전에 어떤 내용을 쓰고 싶은지 간략하게 정리해 보세요. 커다란 구성이 정해지면 글을 쓰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 09글 내용에 적합한 자료(글, 사진 등)를 활용해요. 자료의 출처는 꼭 밝혀 주세요.
- 10문단을 구분해요. 문단을 구분하면 긴 글의 지루함을 덜어 주는 효과가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