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맥거핀 현상 - 낚시성 기사 제목과 드라마 예고편의 비밀
조성빈 기자 레벨 62017.02.271 2 -
요즘 대세인 코딩 프로그램 (1) 스크래치를 즐기는 법
조예원 기자 레벨 52017.02.270 5 -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에서 휴머로이드 로봇을 만나다
김진서 기자 레벨 42017.02.271 4 -
동물들도 보호 받고 싶어 해요!
이주하 기자 레벨 42017.02.275 21 -
우리가 버린 쓰레기, 어디로 갈까요?
이지호 기자 레벨 72017.02.262 3 -
바이러스와 싸우는 우리 몸의 증상은? (2) 갈증이 난다.
신윤정 기자 레벨 52017.02.271 5 -
어과동의 모든 기자님들을 위한 스티커 댓글 에티켓!
김도희 기자 레벨 42017.02.274 14 -
잊혀진 우리 비행기, 비거
김수민 기자 레벨 52017.02.262 3 -
오랜 초가집이 모여 있는 아산 외암마을에 가다
김서진 기자 레벨 52017.02.271 3 -
아침고요수목원의 야경을 즐기다!
김서진 기자 레벨 52017.02.271 3 -
한국의 인구가 서울로 집중하는 현상
장재민 기자 레벨 32017.02.261 8 -
동생과 함께 V센터에서 태권브이를 만나다
조승유 기자 레벨 52017.02.261 5 -
야구는 왜 9회까지 할까?
장학훈 기자 레벨 62017.02.261 5 -
유비쿼터스란?
김경민 기자 레벨 52017.02.251 3 -
우수기사
전시용 돌고래의 눈물
김민성 기자 레벨 72017.02.2415 33 -
산도 무너지고 바닥도 쏫는 지진에 대하여!
조서빈 기자 레벨 52017.02.242 7 -
포스트잇, 너의 정체가 뭐냐!
김민경 기자 레벨 62017.02.234 10 -
'오지다'와 병신은 표준어다?!
임소정 기자 레벨 72017.02.221 27 -
동물원의 슬픈 진실
김민성 기자 레벨 72017.02.226 21 -
바늘이 물에 뜬다?!
구본민 기자 레벨 52017.02.222 14
기사 잘 쓰는법이
궁금해요!

기자단 친구들~!
‘기사를 작성해야지’ 마음을 다잡고 컴퓨터 앞에 앉았는데 무엇을, 어떻게 작성할지 막막할 수 있어요. 아래 내용을 보면서 기사를 작성해 봅시다! 기사를 작성해 본 친구들도 빠뜨린 부분은 없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기사에서 아주 중요한 것이 제목이에요. 사람들은 제목을 보고 기사를 볼 것인지 말 것인지 결정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좋은 제목은 어떻게 정하는 것일까요?
위 3가지 조건을 갖춘 제목이 좋은 제목이랍니다.
어떤 사건에 대해 기사를 쓸 때 무엇을 써야 할지 모르겠다면, 우선 ‘육하원칙(언제, 누가,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에 맞게 내용을 배열해 보세요. 객관적인 정보를 빠뜨리지 않고 작성할 수 있답니다. 특히, 체험 활동을 한 후 기사를 작성할 때는 육하원칙을 잘 지켜 주세요.
기사 내용과 관련 있는 사진과 그림을 첨부하면 기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돼요. 사용된 사진과 그림이 무엇을 설명하는지 내용을 작성해 주세요. 이때 본인이 직접 찍은 사진만 사용해 주세요, 특히, 포털 사이트에서 가져온 사진이나 그림을 사용하지 말아주세요. 저작권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기사에 오·탈자가 있다면 내용에 신뢰가 떨어지겠죠? 띄어쓰기와 맞춤법을 지키지 않은 글은 성의없게 보인답니다. 띄어쓰기와 맞춤법은 잘 작성된 기사의 기본이에요.
인터뷰를 한 모든 내용을 기사에 다 쓸 수는 없어요. 인상 깊었거나 중요해서 강조하고 싶은 내용, 독자가 궁금해 할 내용을 중심으로 인터뷰 기사를 작성해 주세요. 인터뷰 내용을 기사의 포인트로 활용해 주세요.
마지막으로 ‘나는 기자다’라는 자부심으로 어디에서든 자신감 있고 당당하게 취재하는 자세! 잊지 마세요.^^
- 01길지 않아야 해요. 한 번에 읽기 편하도록 긴 문장은 쪼개서 짧게 만들어요.
- 02쉽게 써야 해요. 영어, 한문을 사용하는 대신 순수한 우리말로 쉽게 써요.
- 03미사여구를 자제해요. ‘굉장히’, ‘매우’ 등 꾸미는 단어를 자주 쓰면 과장된 표현으로 느껴져요.
- 04적절한 용어를 선택해요. 글의 앞뒤를 보고 꼭 알맞은 단어를 찾아서 써요.
- 05문장 호응관계를 잘 지켜요. 주어와 목적어, 서술어가 서로 자연스럽게 어울려야 해요.
- 06자세히 써요. 단순히 ‘높다’가 아니라 ‘3m 높이’라고 쓴다면 정확하겠죠?
- 07같은 말은 피해요. 한 문장에 같은 단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요.
- 08글을 쓰기 전에 어떤 내용을 쓰고 싶은지 간략하게 정리해 보세요. 커다란 구성이 정해지면 글을 쓰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 09글 내용에 적합한 자료(글, 사진 등)를 활용해요. 자료의 출처는 꼭 밝혀 주세요.
- 10문단을 구분해요. 문단을 구분하면 긴 글의 지루함을 덜어 주는 효과가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