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스트포토상
국립중앙과학관 자연사관 개관하다
이용현 기자 레벨 52017.02.212 8 -
수제 봉투로 내 마음을 전해 보자!
임소정 기자 레벨 72017.02.215 29 -
인기상
영화 ’나 홀로 집에‘ 주인공 맥컬리 컬킨의 충격적인 변화
윤은재 기자 레벨 52017.02.225 50 -
파워포인트 작성법!
김지후 기자 레벨 32017.02.223 14 -
생생취재상
동물 권리 보호 4편 - 길고양이도 살아갈 권리가 있어요(1)
추연서 기자 레벨 42017.02.217 24 -
같은 상황, 다른 R 기술(현실)을 사용하면?
김경민 기자 레벨 52017.02.210 4 -
젤리 괴물 만들기!
김지후 기자 레벨 32017.02.216 19 -
상대성 이론에 대하여 알아보자 (1)
송명찬 기자 레벨 42017.02.211 3 -
야구공에 실밥이 있는 이유는?
장학훈 기자 레벨 62017.02.212 9 -
2월, 천국 같은 서울 코믹월드에 다녀오다!
김도희 기자 레벨 42017.02.201 10 -
현재 한국이 1위인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박민주 기자 레벨 42017.02.212 7 -
컴퓨터에 대해 알아보자!
조승유 기자 레벨 52017.02.180 6 -
경주에 있는 경주월드에 가다!
이지민 기자 레벨 52017.02.204 19 -
국립중앙박물관 ’이집트 보물전‘에서 만난 미라
강규진 기자 레벨 12017.02.201 12 -
마이쮸로 먹는 장미 만들기!
구본민 기자 레벨 52017.02.202 22 -
우리 몸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정세원 기자 레벨 42017.02.202 13 -
삼성 리움미술관 - '세상의 가능성'을 다녀와서
강우진 기자 레벨 22017.02.191 3 -
마크 저커버그의 바이오 프로젝트가 무엇일까?
권민준 기자 레벨 52017.02.182 9 -
우리 몸이 바이러스와 싸울 때 나타나는 증상은? 1편 - 열
신윤정 기자 레벨 52017.02.191 5 -
영화 '너의 이름은' 파헤치기 (1편)
박민주 기자 레벨 42017.02.173 32
기사 잘 쓰는법이
궁금해요!

기자단 친구들~!
‘기사를 작성해야지’ 마음을 다잡고 컴퓨터 앞에 앉았는데 무엇을, 어떻게 작성할지 막막할 수 있어요. 아래 내용을 보면서 기사를 작성해 봅시다! 기사를 작성해 본 친구들도 빠뜨린 부분은 없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기사에서 아주 중요한 것이 제목이에요. 사람들은 제목을 보고 기사를 볼 것인지 말 것인지 결정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좋은 제목은 어떻게 정하는 것일까요?
위 3가지 조건을 갖춘 제목이 좋은 제목이랍니다.
어떤 사건에 대해 기사를 쓸 때 무엇을 써야 할지 모르겠다면, 우선 ‘육하원칙(언제, 누가,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에 맞게 내용을 배열해 보세요. 객관적인 정보를 빠뜨리지 않고 작성할 수 있답니다. 특히, 체험 활동을 한 후 기사를 작성할 때는 육하원칙을 잘 지켜 주세요.
기사 내용과 관련 있는 사진과 그림을 첨부하면 기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돼요. 사용된 사진과 그림이 무엇을 설명하는지 내용을 작성해 주세요. 이때 본인이 직접 찍은 사진만 사용해 주세요, 특히, 포털 사이트에서 가져온 사진이나 그림을 사용하지 말아주세요. 저작권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기사에 오·탈자가 있다면 내용에 신뢰가 떨어지겠죠? 띄어쓰기와 맞춤법을 지키지 않은 글은 성의없게 보인답니다. 띄어쓰기와 맞춤법은 잘 작성된 기사의 기본이에요.
인터뷰를 한 모든 내용을 기사에 다 쓸 수는 없어요. 인상 깊었거나 중요해서 강조하고 싶은 내용, 독자가 궁금해 할 내용을 중심으로 인터뷰 기사를 작성해 주세요. 인터뷰 내용을 기사의 포인트로 활용해 주세요.
마지막으로 ‘나는 기자다’라는 자부심으로 어디에서든 자신감 있고 당당하게 취재하는 자세! 잊지 마세요.^^
- 01길지 않아야 해요. 한 번에 읽기 편하도록 긴 문장은 쪼개서 짧게 만들어요.
- 02쉽게 써야 해요. 영어, 한문을 사용하는 대신 순수한 우리말로 쉽게 써요.
- 03미사여구를 자제해요. ‘굉장히’, ‘매우’ 등 꾸미는 단어를 자주 쓰면 과장된 표현으로 느껴져요.
- 04적절한 용어를 선택해요. 글의 앞뒤를 보고 꼭 알맞은 단어를 찾아서 써요.
- 05문장 호응관계를 잘 지켜요. 주어와 목적어, 서술어가 서로 자연스럽게 어울려야 해요.
- 06자세히 써요. 단순히 ‘높다’가 아니라 ‘3m 높이’라고 쓴다면 정확하겠죠?
- 07같은 말은 피해요. 한 문장에 같은 단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요.
- 08글을 쓰기 전에 어떤 내용을 쓰고 싶은지 간략하게 정리해 보세요. 커다란 구성이 정해지면 글을 쓰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 09글 내용에 적합한 자료(글, 사진 등)를 활용해요. 자료의 출처는 꼭 밝혀 주세요.
- 10문단을 구분해요. 문단을 구분하면 긴 글의 지루함을 덜어 주는 효과가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