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수학동아 기사
왕 이름끝에 있는 조 와 종, 무슨차이일까?
출처:KBS[뉴스픽]
안녕하세요 손예서 기자 입니다.
여러분은 역사속 왕의(조선) 이름을 보면
때에 따라 왕 이름 뒤에 '조'와'종이 붙어있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태종?세조?예종?영조?
언제 '종' 이 오고 '조'가 오는 걸까요?
그러면 알아봅시다!
일단 먼저 '모호'를 알아 봅시다.
'모호'란, 왕이 죽은 뒤에 후손들이 붙이는 이름입니다.
나라를 창업한 왕은 '조' ,왕조를 유지한 왕은 '종'
이 기본 관례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나라를 창업한 왕에 속하는 태조(이성계)는 나라를 창업했으니 '조'가 옵니다.
고려 왕 계보에서는 '조'를 쓰는 왕이 태조밖에 없습니다.
(충열왕 이전까지 입니다)
그런데 조선 왕 계보는 좀 복잡합니다.
처음 왕 계보를 어긴 건 세조입니다.
훗날 세조의 모효를 정할 때 아들인 예종이
'조' 를 붙여야 한다고 주정합니다. 선왕인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되고
그 뒤에 등록된 왕이니 새로운 왕이라 생각하였고 세종에 정신을 이어갔다고 생각되어 세종의 세자에
'조'를 더해 세조가 된 것입니다.
선조는 원래 선종이였지만 임진왜란을 잘 극복해서
선조가 됬고 인조는 성왕이 광해군으로 강등되서
새로운 왕이 되서 '조'가 붙여졌다고 합니다.
이렇듯 조선 시대에는 왕건을 강화하거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후대왕이 선대왕의 모호를
'조'로 높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영조,정조,순조도 원래 영종,정종,순종이었는데
고종이 직계 혈통인 영종과 정종을 영조와 정조로
높혔고 철종이 순종을 순조로 높혔습니다.
이제 조선 왕들의 끝 단어(조,종)을 헷갈리지 않겠죠?
기사를 쓰면서도 '이런 이유가 있었구나~'
라고 생각했습니다.
이상으로 기사를 마치겠습니다.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21.08.16
조선 시대의 여러 왕들의 이름을 보면서 궁금할 수 있는 질문이네요. 구체적인 주제이지만, 궁금할 법한 주제에 대한 답으로 잘 구성해 주었어요. ^^
마지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