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수학동아 기사
우리나라의 24절기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김민경 기자입니다.
오늘은 우리나라의 24절기를 알아보겠습니다.
잠깐! 절기가 무엇인지 모르겠다고요? 절기는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눈 기후의 표준점으로 15일 내지 16일에 한 번 돌아온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24절기를 한 눈에 보면 이렇습니다.
24절기는 양력을 기준으로 해요.
대략의 날짜와 절기를 알려드렸으니 이제 더 자세하게 파헤쳐 보겠습니다.
봄
1.입춘 : 입춘 전날을 절분이라하며, 철의 마지막이라는 의미로 '해넘이'라고도 부른다고 한다. 특히 입춘날에는 ''입춘대길'' 등의 입춘방을 문에 붙이고, 입춘절식이라 해서 고유의 절기 때 먹는 음식인 절식인 햇나물 무침을 먹는다. 입춘 기간에는 동풍이 불어 언 땅이 녹고, 동면 벌레가 움직이기 시작하며, 물고기가 얼음 밑을 다닌다고 하였다.
2.우수 : 봄을 알리는 단비가 내려 대지를 적시고 겨우내 얼었던 대지가 녹아 물이 많아진다는 의미로 우수라고 한다. 예로부터 ''우수 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고 하였다.
3경칩 : 이 무렵은 날씨가 따뜻해져 초목의 싹이 돋고 겨울잠 자던 동물이 깨어 꿈틀대기 시작한다는 의미에서 명칭이 정해졌다. 이 때의 풍속에는 개구리 알이 몸에 좋다하여 개구리 알을 잡아먹고, 흙 일을 하면 탈이 없다 해서 담을 쌓거나 벽을 바르는 일을 하고, 이 날 보리 싹의 성장 상태로 보리 농사의 풍흉을 점쳤다고 한다.
4.춘분 : 춘분 기간에는 남쪽에서 제비가 날아오고, 우뢰소리가 들리며, 그 해 처음으로 번개가 친다고 하였다.
5.청명 : 날씨를 이야기할 때 '청명하다'는 말을 사용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맑고 깨끗한 기후의 시기다. 봄 농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며, 논 밭둑을 손질하는 가래질을 품앗이로 행한다. 이날 성묘를 간다.
6.곡우 : 의미는 봄비가 내려 백곡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이며, 농가에서는 못자리를 마련하고 한 해 농사의 준비가 시작된다.
여름
7.입하 : '여름에 든다.'는 뜻으로 초여름의 날씨를 보인다. 여름은 입하에서부터 시작하여 입추 전까지 이다.
8.소만 :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찬다는 뜻으로 날씨가 여름에 들어서 모내기가 시작되고 보리 수확을 하기 시작한다. 소만 기간에는 씀바귀가 뻗어 나오고,냉이가 누렇게 죽어가며, 보리가 익는다고 한다. 이 시기에 심한 가뭄이 들곤 한다.
9.망종 : 벼, 보리 등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종자를 뿌릴 적당한 시기라는 뜻이다.
망종 기간에는 까마귀가 나타나고, 왜가리가 울기 시작하며, 자빠귀가 울음을 멈춘다고 한다.
10.하지 : 이 날은 낮의 길이가 1년 중 가장 긴 날이 되는데, 이는 지구 표면이 받는 열이 가장 많아진다는 것으로 이 열이 계속 쌓여 하지 이후에 더욱 더워져 삼복 시기에 가장 덥게 된다.
11.소서 : 이 시기는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계절이며, 장마전선이 한반도의 허리를 가로질러 장기간 머물러 습도가 높아지고 많은 비가 내리는 장마철이다.
12.대서 : 대서는 소서와 입추 사이에 있는 음력 6월 중기로 양력으로는 7월 23일 경 이다. 대개 중복 시기와 비슷해서 폭염의 더위가 심한 시기이면서도 장마로 인해 많은 비가 내리기도 한다.
가을
13.입추 : 입추 기간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어오고, 이슬이 진하게 내리며 귀뚜라미가 운다.
14.처서 : 여름이 지나 선선한 가을을 맞이하여 더위를 식힐 수 있다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처서 기간에는 매가 새를 잡아 늘어 놓고, 천지가 쓸쓸해지며, 논에 벼가 익는다고 한다.
15.백로 : 백로는 처서와 추분 사이에 있는 음력 8월 절기로 양력으로는 9월 8일경이다. 추석 무렵으로 만곡이 무르익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밤에 기온이 내려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엉겨 이슬이 되어 풀잎에 맺힌다. 백로 기간에는 기러기가 날아오고, 제비가 돌아가며, 뭇 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
16.추분 : 이 시기는 추수기가 시작되고 백곡이 풍성한 때이다. 추분 기간에는 우레 소리가 그치고, 동면할 벌레가 흙으로 창을 막으며, 땅 위의 물이 마르기 시작한다고 한다.
17.한로 :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가 되며, 단풍이 짙어지고 여름새와 겨울새의 교채 시기에 해당하며 오곡백과를 수확한다. 한로 기간에는 기러기가 모여들고, 참새가 줄어들고 조개가 나돌며, 국화꽃이 노랗게 피어난다고 한다.
18.상강 : 대체로 이 시기는 맑고 상쾌한 날씨가 계속되며 밤에는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서리가 내리기 시작한다. 상강 기간에는 승냥이가 산짐승을 잡고 초목이 누렇게 변하고, 동면하는 벌레가 모두 땅 속으로 숨는다고 한다.
겨울
19.입동 : 이 날부터 '겨울에 들어선다'라는 뜻에서 입동이라 부른다. 입동 기간에는 물이 비로소 얼고.,땅이 처음 얼며, 꿩은 드물고 조개가 잡힌다고 한다.
20.소설 : 이 시기는 첫 겨울의 증후가 보여 눈이 내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21.대설 : 눈이 많이 내린다는 뜻에서 이런 이름이 붙었는데, 이는 중국 화북지방의 기상을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도 이 시기에 반드시 적설량이 많다고 볼 수는 없다.
22.동지 : 24절기 중 가장 큰 명절로 즐겼으며 밤이 가장 길다. 붉은 팥으로 죽을 쑤어 그 속에 찹쌀로 옹시미 또는 생알심이라는 단자를 만들어 넣어 먹고 또 역귀를 쫓는다는 의미로 팥죽 국물을 벽이나 문에 뿌렸다.
23.소한 : 대한이 더 춥다는 의미지만 우리나라는 소한 때가 더 추워 ''대한이 소한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옛말이 생겨났다.
24.대한 : 겨울 추위의 매듭을 짓는다는 의미의 대한 이지만 실제는 소한 때가 더 춥다.
만약 절기가 없었다면 우리의 조상들은 그 시기에 맞는 날짜를 몰라서 농사도 못 짓고, 추위에 벌벌 떨며 지내지 않았을까요?
이상입니다.
2016.3.30. pm 9:22분
김민경 기자.
글쓰기 평가현수랑 기자2016.04.07
우리나라는 양력과 음력을 함께 사용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24절기의 날짜가 양력인지 음력인지 먼저 명확하게 밝히는 것이 필요해요. 또 ~합니다, ~다를 섞어서 쓰고 있는데 통일하는 것이 좋겠어요 ^^ 친구의 다음 흥미로운 기사를 기대할게요~! 참, 문장을 조금 다듬어서 업로드 하니 참고해 주세요~!!!
마지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