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수학동아 기사
과학동아 천문대에 다녀왔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기자 입니다.
어린이날을 맞아 과학동아 천문대에 다녀왔습니다.
수업 이름은 태양계와 행성인데요. 태양계에 대해 배웠습니다.
(사진출처: https://w.namu.la/s/cc03703c4091f961981663d53b2d206eb56b1dfa8b1b4f2fbd899f798e238c7f1f766efaffb98b50473c8fda6ec9b4f1c48aa09ccb74fce3b3ee635b9ebe932815b2569b831d12176ebd70168209c95ad47c6e19cf2893d50511a32ad981dbcc)
태양계는 별인 태양을 중심으로 도는 천체들이 있는 곳인 데요.
태양계에는 현재까지 8개의 행성과 3개의 왜소행성이 있습니다.
(사진출처: https://w.namu.la/s/6decebd07b38c52b839cdb571b8e1fc05a7ed856e03306a386fe664a6d3f24d37557cbbeec957f13bbb88f48c373b36978e73b7c46c971736803c4e22f16e5bc83821ed9debaf2ddd774eab51b677fa5d5f994ccd7b91c9b3068be5b4dfc94cbcb21a4bf2c0308aad2a17314c0355d71)
옛날에는 명왕성도 행성이었는데요.
2006년에 행성에서 퇴출되었습니다.
이번에는 태양계에 있는 행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수성
(사진출처: https://w.namu.la/s/aaa9b59d8bbb82434067bb2d550b39f0ba7018eb27cd67a6e0b7bb0351ff9f5a0c677565d1c21264d7aa269acd1d845041adb5658e706dab5b3078996b7d9916ab414b0db021e1ce0977752ddeb0c29a21e315ef47df2e65d14162eb818f8ad453222ae36196b637f9fcb0683af0b77c)
수성은 태양계의 첫 번째 행성입니다.
태양이랑 제일 가까운 행성이고 자전축 기울기는 0° 입니다.(반올림한 값) 수성은 어느나라의 것도 아니지만 땅의 이름이 있습니다.
땅의 이름은 유명한 예술가들의 이름 입니다. 모차르트, 베토벤등의 지명이 있으며, 우리나라 사람은 윤선도, 정철입니다.
2. 금성
(사진출처: https://w.namu.la/s/5a813c6a603ca64263a401549671096359b8307fd8b3463d5ebc5d63956bde0d731dcef69fd5746d05ff9127464c922d4799556a6e75f8f667a39001357df14c3ddbd067e2dd21a9bf1e1fcaa06e6b095a96538bd4d6b4dcf14202583b9b1434d4b8bf8cd757ea14db83cd64ee85f671)
금성은 태양계에서 2번째 행성이며 수성과 같이 위성이 없는 행성입니다. 수성도 금성과 같이 땅이름이 있는데 주제는 유명한 여성들입니다.
우리나라 사람은 신사임당과 황진희가 있습니다. 그리스 로마신화의 나오는 아름다움의신이 비너스라는 이름과 다르게 금성에는 황산구름 비가 내리는 곳도 있어 태양계의 지옥이라고도 불립니다.
3. 지구
(사진출처: https://w.namu.la/s/8cdfe84a39fff7c8504c0235b9930eb7621066c584fae34ee6863c02f867c4e1c84e641c19a85dd7a64f0e65ac24701859f6f054f8a0b8891030fcae50b11f8237e45999e7dc5aee1535cf34ed5358d29d360038a997dd7e870f2909f337a8917529ecf88420d77fa60c0fdd4119fde1)
지구는 우리가 살고 있는 행성이며 위성이 제일 많은 행성입니다.
왜 제일 많으냐면 인공위성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인공위성을 제외하면 위성은 달 하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이 글을 읽고있는 분들도 지구에서 살고 있습니다.
제일 넓은 바다는 태평양이고 제일 넓은 대륙은 아시아 대륙입니다.
4. 화성
(사진출처: https://w.namu.la/s/3c4fdd02050815e1504d6d048b69d19bb42e5d0ad9eb6acb7d8e6a4234255d5a177d9d261c709dc8fe4d40b863037c3d8a778208ab37dbfe2254c6c5eeacd411d7f96f7a6d2f97d9e3316463a7c5da1269c8583548619a32cbee5d7a2a442d2a6916a6e9d7b351ed0bfa724c30101b3d)
화성은 만약에 지구가 망하면 이주하게 될 수도 있는 행성입니다.
화성도 물이 흐르던 흔적이 있고 4계절이 존재합니다.
5. 목성
(사진출처: https://w.namu.la/s/6b6c2e2f6e0f590dce540028c5f15b50cef0636d9d48f3c5f39d6cd9d3c7db329a8f23ebe0615d7ceafab6a2586910c7d61e54e50ae31c6f83eed8354748eb6512d43d29471b939625672eed6e5bed95825e0dcb261eeca871bb8057f0f7bdf824e4cf54c3f217a03cf476c33d7005a0)
목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입니다.
목성의 눈이라고 불리는 곳에는 지구가 2개가 들어갑니다.
목성이 조금만 더 컸다면 제2의 태양(별)이될수도 있었는데 그러면 엄청난 일이 일어납니다.
1. 밤이 없음
2. 더움
3. 천체관측 불가
6. 토성
(사진출처: https://w.namu.la/s/14d07333e2e25397a2138ba033a3280fb005e8129a241a5a2ee964d8b82793a341e5868fcd1a67686cb19d4d5c518f50fa8b5e215b288c0eb15e3bcfed00a6cef97ce0971af30fee2d40d71cd2dbe36856dd854fdc2b813b8cda3ba56a88d6df)
토성은 태양계에서 2번째로 큰 행성이고 목성이랑 같이 기체 행성입니다.
토성 하면 보통 고리를 떠올리는데 아주 운이 않좋으면 고리 없는 토성을 볼 수도 있습니다.
제가 스텔라리움으로 찾아 봤는데 대략 2025년 3월 24일에 이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때 천문대에 방문하여 보는 것도 즐거운 경험일 것 같습니다.
7. 천왕성
(사진출처: https://w.namu.la/s/c30996dcff1ece8bb2b34500a52755812b71462e4b51dba67a492d532fcf00b6604e46ab90b4460f54e0be83619dc9c87c15037ff513dbb61f4205f84a0f21788a23cb8bd5f881b040606a5b1babb22b75f39f39344b80541a9c06bb720562a0)
천왕성은 태양계에서 7번째 행성이며 자천축이 97.77°기울어 져 있는 특이한 행성입니다.
그리고 천왕성도 토성 처럼 고리가 있는데요. 토성의 고리는 얼음처럼 빛을 잘 반사하는 물질 이여서 지구에서도 보이고
천왕성의 고리는 흙 같은 물질로 되었았어서 반사가 잘 안되서 안 보이는 것입니다.
8. 해왕성
(사진출처: https://w.namu.la/s/5945708f01344d106387c8eee3b9b1a95817bccb4ca173d83a891d27601d95c4ab3c392aab6524380626340f5183dab5575f8fab7715ef72a5c32ae8ee8162fbc2d05e524383b083ceb7b0d09774ba3de3f67e1e2d1cd9e92ff6fa39ee7dc454b6ae307e22fcf66feca3fb2b313a60e5)
해왕성은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 입니다.
해왕성도 놀랍게도 고리가 있습니다.
태양계에 대한 수업을 듣고 천체투영실에서 영상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천체 관측을 했습니다.
북두칠성, 성단, 달을 관측했습니다.
그때는 강사님 분께서 1년에 몇 없는 날씨가 좋은 날이라고 하셔서 구름 한점 없이 천체관측을 진행하였습니다.
저는 강사님께서 달과 성단을 찍어주셨습니다.
달
성단
감사합니다.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22.05.06
과학동아 천문대에서 태양계에 대해 배우고, 달 관측을 했군요. 태양계에 대해 알게 된 점을 내용 정리해서 소개하고, 천문대에서 관측한 느낌도 잘 표현해 주었어요. 천문 관측은 날씨 영향을 많이 받는데, 날씨가 좋아서 잘 볼 수 있었다니 행운이네요. ^^ 기사 잘 봤어요.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