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수학동아 기사
눈에 보이지 않는 아름다움, 황금비율
박시온 기자
레벨 4
2024.12.06
비: 두 수를 나눗셈으로 비교할 때 기호 : 를 사용하여 나타낸 값
비율: 두 수의 비를 하나의 수(분수, 소수)로 나타낸 값
황금 비율는 1:1.618인 비율인데 기원전 300년경 수학과 기하학에 관한 고전 그리스 서적인 유클리드 원론에서 처음 언급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유클리드와 함께 피타고라스와 같은 다른 초기 수학자들은 이 비율을 황금 비율이라고 칭하지 않았습니다. 이 비율이 신비롭게 여겨지게 된 것은 얼마 지나지 않았을 때였습니다. 1509년 이탈리아 수학자 루카 파치올리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삽화와 함께 단순성과 정연함의 상징인 이 비율을 칭송하며 서적 신성한 비례를 출간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신비로움과 달리 황금비는 탤레비전,창문,우표 등 다양한 곳에 있습니다.
실망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황금비는 장미, 파르태논 신전, 모나리자, 심지어 우주 은하에도 있습니다.
출처:네이버 블로그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24.12.07
아마 '황금비율'이라는 말을 익숙하게 어디선가 한 번쯤은 들어보지 않았을까 싶어요. ^^ 수학에서 비와 비율을 배울 때 책이나 문제집에서 읽기 자료를 통해 접하기 쉬운데요. 황금비율이 무엇인지 역사적인 의미나 활용등을 간략하게 소개해 주었네요. 다만, 이 글만 읽고 황금비율을 이해하기에는 조금 아쉬움도 있어 보입니다. 그림 등을 활용해서 황금비율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몇 가지의 예를 보여주면 더 이해하기 쉬울 것 같네요.
정말 유익해요!
시온 기자님~ 이번 기사에서도 흥미로운 주제를 선택해 주셨네요!
이번 글은 비율과 황금비에 대해 소개하고, 관련 예시를 들어 설명해 주었네요.
다만, 황금비율이 가진 매력과 실제 적용 사례가 우리 생활에 어떤 의미를 주는지
조금 더 구체적으로 표현해 주면 다른 친구들이 더 쉽게 공감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앞으로도 흥미로운 주제를 친구들에게 소개해 주길 기대할게요. 화이팅! ^.^
좋은 기사네요! 저도 수학을 좋아하는데, 황금비율에 대해 설명해주셔서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