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위성은 어떻게 날까?

2025.04.02

 악동뮤지션의 노래 <작은별>을 들어보셨나요? <작은별>의 가사 중에서



 "저게 인공위성일까 별이었으면 좋겠다" 라는 가사가 있습니다. 오늘은 바로 인공위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인공위성은 어떻게 날까요? 두 가지 상상실험을 해 봅시다. 인공위성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데 갑자기 지구가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지구가 사라지면 중력도 사라지므로 인공위성은 계속해서 앞으로 갈 것입니다. 인공위성이 갑자기 멈추면 어떻게 될까요? 인공위성이 갑자기 멈춘다면 정지한 인공위성은 지구로 떨어지게 되겠죠. 이 상상실험에서 인공위성이 나는 원리를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인공위성은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려고 하나 지구의 중력 때문에 아래로 떨어집니다. 따라서 인공위성이 비행하는 속도와 지구가 당기는 힘이 합해져서 인공위성은 지구 주위를 돌며 궤도 운동을 하게 됩니다.



>>인공위성이 나는 원리(그림)



 



 지구 주위를 도는 인공위성은 각자의 궤도를 지니고 있습니다. 인공위성의 궤도는 높이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합니다. 그 중에서도 저궤도 위성과 정지궤도 위성에 대해 알아봅시다.



 저궤도 위성은 500~1500km 사이의 저궤도에서 초속 7km 정도로 도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위성입니다. 지구와 가깝다보니 지구를 자세히 관찰하기 쉽겠죠? 그래서 저궤도 위성은 주로 군사위성이나 항법위성(비행기, 배, 자동차 등에 위치 정보 제공)으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정지궤도 위성은 지구가 자전하는 속도와 같은 빠르기로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지상에서 보면 인공위성이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이죠. 고도 약 36000km에 위치한 정지궤도 위성은 약 초속 3km의 속도로 움직인다고 합니다.





>>저궤도와 정지궤도(그림)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인공위성 '천리안 2B호'에 대해 소개하고 싶습니다. 천리안 2B호는 세계 최초의 정지궤도 환경위성입니다. 2020년 2월 19일에 발사된 천리안 2B호는 미세먼지와 대기 오염 유발 물질을 관측하고 해양환경 보호와 수자원 관리, 해양안전 등에도 활용됩니다. 천리안 2B호는 현재도 활동 중이며 2030년에 임무를 마칠 예정이라고 합니다. 앞으로도 우리나라가 우주 개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면 좋겠습니다!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25.04.04

인공위성의 원리에 대해 자신이 이해하고 자신의 문장으로 잘 정리해 준 글이네요.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림판으로 그린 그림도 글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직접 그린 점도 좋았습니다. ^^ 인공위성마다 각자의 궤도를 가지고 있고, 목적을 가지고 있다는 점도 잘 알 수 있었습니다. ^^

목록보기

댓글 3

그림으로 힘의 방향을 설명해 주어 이해하기 쉬웠어요.
저궤도위성과 정지궤도 위성에 관한 내용도 재밌게 읽었습니다!
소율 기자님, 다음에도 팝플에 유익한 기사 많이 작성해 주세요~!

자세히 그림과 함께 설명되어 있어서 이해하기 쉬운 것 같아요!


너무 좋은 기사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