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이 하늘에 떠 있을수 있는 이유는?

2025.04.06

안녕하세요? 김태윤 기자입니다.



제가 저번에 블랙홀 원리라는 기사를 작성하였는데요.오늘은 구름에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하늘에 떠있는 솜사탕 같은 구름, 매우 가벼울거같아 한번씩 콕! 찔러보고 싶었는데요! 그런데.....! 사실 구름은 수만톤의 무게를 지니고 있다고 합니다!그런데 이쯤 되면 다들 궁금증이 생기실텐데요! 



"그럼 이 무거운 구름이 어떻게 하늘에 떠 있지?"



 하고 생각하실거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구름이 하늘에  떠있을 수 있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1.작고 가볍다! 물방울! 이 물방울들의 모임! 구름!



구름은 수증기와 매우 작은 물방울, 얼음 입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물방울의 크기는 보통 0.01mm라는 작은 크기의 물방울이 라서, 중력의 작용을 바로 받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작은 물방울들은 공기의 저항에 의하여 천천히 움직이면서 하늘에 머문다고 합니다.



2.상승기류의 힘은 대단하다!



공기도 뜨거워지면 가벼워져서 위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 현상을 바로 상승기류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상승기류랑 무슨 상관이 있냐면.... 수증기를 위로 같이 올리면서 구름을 생성하게 하고, 구름을 떠 받혀주는 역할도 한다고 합니다.



3.기압과 온도의 조화로 떠 있는 구름



상층 대기의 차가운 공기와 근처의 따뜻한 공기가 만나면그 경계면에 구름이 형성되어, 이 구름은 공기층 위에 떠받혀져 있는 상태라고 합니다. 그렇기에 그 구름도 떠있을수 있는 거죠.



4.그럼 구름은 계속 떠있을까?



아닙니다, 구름속의 물방울등이 계속 합쳐지면 무거워져 중력에 의해 '비,눈'으로 떨어진답니다.



오늘은 이처럼 구름이 떠있을수 있는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이처럼 우리 주변에도 많은 과학 현상이 숨어 있습니다.여러분들도 주변에 숨어있는 과학현상들을 파헤쳐보세요! 그럼 안녕~    출처:네이버 블로그 (스카이콩콩님의 게시글)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25.04.07

하늘에 있는 구름을 보면 솜 같을 것 같기도 하고, 하늘에 펼쳐진 안개 같다는 생각도 들어요. 비행기를 타게 되면 구름을 아주 가까이에서 볼 수도 있는데요. 구름에 대해 자료를 조사하고 재밌는 사실들을 잘 정리해 주었네요. 생각보다 구름의 무게가 무겁다는 것, 구름이 어떻게 대기 중에 떠 있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잘 알려주었어요. 구름이 생성되는 높이나 모양에 따라서도 많은 이름들이 있는데요. 구름에 대해 또 다른 재밌는 것들도 찾아서 함께 글을 써도 흥미로운 기사가 될 것 같습니다. ^^

목록보기

댓글 2

몽글몽글해 보이는 구름의 무게가 수만 톤이라니 놀랍네요!
이 무거운 구름이 상승 기류에 의해 하늘에 떠 있을 수 있군요.
너무 무거워지면 물방울들이 눈이나 비의 형태로 땅에 떨어지게 된다는 내용까지, 유익한 기사였습니다.
태윤 기자님, 다음에도 재밌는 주제로 팝플에 기사 많이 작성해 주세요~!

신기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