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미션] 대한민국과학기술대전!

2025.04.19

 

 

안녕하세요!

박한별 기자입니다.

오늘은 제가 현장 미션으로 과학기술대전에 갔다 왔는데요,

비록 제가 과학기술대전에 당첨되어 가지는 못했지만 기사를 쓰기 위해 갔습니다.

아래의 물건들은 과학기술대전에 갈 저의 준비물입니다.

1.가방

2.필통

3.취재수첩

4.샤프,펜,지우개

5.내 영혼(보이지는 않지만 있습니다)

동탄에서 대전으로 가는중~

짜잔! 대전 도착!

2관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운영하는 부스가 있으므로 그곳으로 출발~

한국항공우주연구원님께 정말 많은 점을 배웠습니다.

 

처음 저는 인공위성의 속도가 비교적으로 느린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총알보다 인공위성의 속도가 더 빠르다고 합니다.

여러분 다누리 아시나요? 

맞아요, 한국의 인공위성이에요!

지금도 다누리는 열심히~달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다누리의 수명이 다하면 어떻게 될까요?

만약 다누리가 수면이 다할 경우,일부러 달에 충돌시킨다고 합니다.

 

그럼 이번엔 누리호에 대해 이야기해 봅시다.

누리호는 지금까지 총 3번 발사했지요? 실패,성공,성공 이렇게 말입니다.

올해 11월에도 발사된다고 하니까 저도 보러갈려고요.

이제 본격적으로 누리호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요?

누리호는 3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단에는 75톤 연료가 4개, 2단에는 1개가 들어 있다고 하네요. 높이는 47.2m로 실제 전시장에 있던 것의 3배 정도 되는 높이였습니다.

누리호에서 액체연료는 추격조절에 쓰인다고 합니다.

혹시 누리호가 이륙하는 영상을 볼 때 어떤 가루 같은 게 덜어지는 걸 보신 적 있나요?

그건 바로 얼음입니다.

산소가 들어있는 곳 겉에서 떨어지는 거에요. 쉽게 말하자면 차가운 물이 든 컵 겉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과 같은 원리지요.

여러분, 누리호가 발사된 곳이 고흥이라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하지만 처음 발사하려고 했던 곳은 제주도였다고 하네요.

 

여러분은 지구 외에 태양계 행성 또는 위성 중 어느 곳에 물이 있을 거라고 생각해보신 적 있나요?

대부분 사람들은 화성이라고 대답할 것입니다.

하지만 한국항공우주연구팀은 달에도 물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왜냐고요?

달 크레이터는 음푹 파여 있어 햇빛이 비추지 않는 곳도 있습니다. 그런 곳은 빛이 없어 차가워지고,얼음이 생겨서 물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거지요.

 

우주 강대국인 미국과 러시아 중 미국은 연구를 중국/한국과 함께 하기를 원한다고 하더군요. 

여러 발사체 등을 통해서 우리나라도 세계 7대 우주 강대국 중 하나가 되었으니까요.

여러분, 누리호의 맨 윗부분을 보면 꼭 볼펜심처럼 생기지 않았나요? 

그곳은 ‘페어링’ 이라고 부른답니다.

 

이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관해서는 설명이 끝났습니다. 열차 시간이 많이 남아 다른 기업들의 부스들도 둘러보았어요.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는 로봇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었습니다.

그중 ‘웨이러블 보행 보조로봇’이 있었는데요,

잘 걷지 못하는 사람들의 다리에 장착하는 기계입니다. 최대한 일상생활에서 잘 활용되도록 초소형으로,초경량으로 만들었으며 AI헬스케어 기술도 장착하였답니다.

 

한국건설기구연구원에서는 건축물,가구 등에 관해 연구하고 있엇는데요, 여러분은 혹시 집에 공기청정기가 있나요? 있다면 지금 당장 공기청정기를 자세히 살펴보세요. 아마 작동중이라면 불이 켜져 있을 것이고, 위에서 보면  동글동글한 것들이 보일 수도 있어요.

이 동글동글한 것들은 바로 광촉매 입니다. 원래는 가루 형태인데, 가루가 뭉쳐 고체 형태가 되는 것입니다. 광촉매와 빛이 만나면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어 공기청정기,공기살균기 등에 사용된다고 합니다.

삼성 디스플레이에서는 전자기기를 광고하고 있었는데요, 정말 놀라웠답니다. 영상을 보시면 로봇이 직접 광고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실외로 나가니 여러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부스를 운영하고 있었는데요, 

신덕중학교의 체험 부스로 가 보았습니다. 

 

신덕중학교의 실험내용은 ’비행기가 우주로 갈 수 있을까?‘ 하는 내용이였습니다.

비행기와 로켓은 각각 어떤 원리오 이륙할까요?

비행기-공기의 힘(양력)

로켓-작용/반작용으로 연료가 연소하여 분사되는 힘(추진력)

즉 우주에는 공기가 없으니 비행기가 우주가지 날지 못한다, 이 말입니다.

그림으로 보면 이해가 되실까요?

이제 과학기술대전이 문을 닫을 시간이 되어 저희 가족은 열차를 타고 집에 왔습니다.

정말 많은 것을 알게 된 하루였어요.

과학의 엔진, 호기심을 깨우다!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25.04.21

와~ 한별 친구, 과학기술대전에 가족과 함께 취재를 다녀왔군요. 현장에서 보고 알게 된 다채로운 내용들을 자신의 말로 이해하기 쉽게, 또 생동감 있게 잘 정리해 준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영상으로 올려준 로봇이 광고 하는 모습도 신기하고, 로봇이 귀엽기도 하네요. 직접 원리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린 그림도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어요. 한별 친구 덕분에 과학기술대전의 모습을 조금이나마 맛보기 할 수 있었네요. ^^

목록보기

댓글 1

한별 기자님~ 대전에서 열린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에 다녀오셨군요!
집에서 가방을 싸며 준비하는 과정부터 대전역, 여러 부스의 사진까지 담겨 현장 분위기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항우연 부스에서 다누리와 누리호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운 것 같습니다. 책이나 기사로 읽었을 때보다 현장에 가서 직접 체험하면 더 많은 것을 배우고 느낄 수 있답니다~!
또, 한국건설기구연구원 부스에서 배운 광촉매를 간단한 그림으로 표현하셨네요~ 광촉매를 잘 모르는 어과수 기자단 친구들의 이해를 도울 것 같습니다!
사진과 영상, 그림과 글까지 모든 요소가 풍부하게 들어간 기사 덕분에 현장 분위기를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