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수학동아 기사
《衣(의)紋(문)의 조선》 전시에서 옷의 숨은 뜻을 배우다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은 12월 16일 경기도박물관에 가서 《衣(의)紋(문)의 조선》전시를 봤다. 우리는 학예연구사 선생님의 설명을 들으며, 조선 시대의 의복과 문양을 살펴보았다.
흑색 단령, 녹색 원삼, 백색 심의, 홍색 조복, 배자 등을 볼 수 있었다. 흑색 단령은 세종대왕의 명으로 신하들이 업무를 볼 때 입게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조선 시대에서는 흑색을 낼 수 있는 재료가 없었기 때문에 그와 비슷한 남색이나 초록색 옷을 입었다고 한다. 출토된 옷은 색깔을 알 수 없었지만 재현된 것을 보면 어느 정도 추측할 수 있었다. 단령이란 건 목 부분이 둥근 옷이다. 그리고 흑색 단령에는 '사모'라고 하는 공무용 모자가 포함되어 있다.
녹색 원삼은 여성의 예복이며 단령과 같이 목선이 둥글다. 원삼으로는 녹색을 많이 사용했다. 민간에서는 결혼식 때만 입을 수 있었다. 가채나 족두리를 머리에 썼다. 가채는 2킬로그램(kg)에 달했다는데 굉장히 무거웠을 것 같다.
백색 심의는 유학자의 예복이다. 유학에서는 화려한 것을 지양하기 때문에 백색을 쓴다. 상의인 저고리와 하의인 긴 치마가 연결되어 길이가 발목에 이르는 형태다. 그런데 백색 심의는 전체 길이가 길지 않았다. 조선 시대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키가 현대 사람들보다 매우 작았다. 백색 심의는 소매가 매우 넓었는데 그 곳에 손을 집어 넣어 손을 잘 보여주지 않았다고 한다.
홍색 조복은 의례용 예복이다. 옷 위에 앞치마 같은 것을 걸쳤는데 왕에게 무릎을 꿇을 때 남자의 소중한 부분을 가려주기 위해서다. 앞치마 위에 흉배를 걸쳤다. 홍색 조복을 입을 때는 금색 양관을 썼다. 흉배는 뜻이 담긴 동물이나 식물을 수놓은 무늬다. 예를 들면 구름은 권위, 국화는 절개, 모란은 부귀, 다람쥐는 다산, 복숭아는 장수를 의미한다. 이 밖에도 다른 흉배가 많이 있다.
배자는 옛날 조끼로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남녀 공용이며 매듭 단추나 끈으로 묶어 고정하는 형태다.
우리 기자단은 이 전시를 보고 나서, 혼례복 만들기 체험을 했다. 혼례복을 만들 때는 고름 매는 방법이 참 신기했고, 바느질도 재미있었다. 내가 만든 남자 혼례복의 흉배는 학 두 마리였고, 여자 혼례복의 흉배는 모란이었다.
《衣(의)紋(문)의 조선》을 보니 지금까지 몰랐던 것을 알게 되어서 매우 좋았다.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16.12.19
학예연구사 선생님의 설명을 잘 들어서 많이 배운 것 같아요. 조선 시대 의복의 색상과 무늬에 그렇게 다양한 뜻이 들어있다는 사실이 놀라워요.
《衣(의)紋(문)의 조선》는 전시 제목이지 기사의 제목으로 보기 힘들어요. 제목은 기사를 요약하는 역할도 하거든요. ‘《衣(의)紋(문)의 조선》 전시에서 옷의 숨은 뜻을 배우다’라고 하면 어떨까요?
다음 문장은 자연스럽게 다듬었어요. [출토된 옷은 색깔을 알 수 없어서 잘 몰랐지만 재현된 것을 봐서 얼마까지는 추측할 수 있었다.] → [출토된 옷은 색깔을 알 수 없었지만 재현된 것을 보면 어느 정도 추측할 수 있었다.]
다음은 불필요한 어절을 정리했어요. [그리고 흑색 단령의 모자가 있었는데 모자는 '사모'라고 하는 공무용 모자였다.] → [그리고 흑색 단령에는 '사모'라고 하는 공무용 모자가 포함되어 있다.]
다음 문장은 간결하게 끊었어요. 한 문장에 한 가지 내용씩 들어있는 것이 좋아요. [백색 심의는 유학자의 예복이고 유학에서는 화려한 것은 어울리지 않게 하기 때문에 색을 백색으로 한다.] → [백색 심의는 유학자의 예복이다. 유학에서는 화려한 것을 지양하기 때문에 백색을 쓴다.]
마지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