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수학동아 기사
과학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축제-제63회 전국과학전람회에 식물 부문 특상 수상자와의 일문일답
Q: 안녕하세요? 제63회 전국과학전람회 특상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A: 축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Q: 전국과학전람회에서 어떤 주제로 탐구를 하셨나요?
A: 저는 식물부문에서 「해인사 팔만대장경은 왜 산벚나무로 만들었을까?」 라는 주제로 참가하였습니다.
Q: 탐구 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A: 2016년 12월부터 2017년 8월까지 약 9개월간 탐구를 하였습니다.
Q: 탐구를 하게 된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A: 저는 가족과 합천 해인사에 여행을 갔다가 팔만대장경을 산벚나무로 만들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왜 산벚나무로 팔만대장경을 만들었는지 산벚나무로 만든 팔만대장경이 어떻게 천년을 버텼는지 궁금하여 탐구를 시작 하였습니다.
Q: 탐구를 어떻게 진행하였나요?
A: 먼저 탐구 과제를 나무의 강도, 방충력, 항균력, 구조, 인경하는 것으로 정하고 실험을 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산벚나무, 돌배나무, 소나무, 오동나무, 버드나무, 느티나무, 박달나무로 실험을 해 보았습니다.
Q: 강도 실험의 결과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A: 힘센서라는 실험 기구를 이용하여 나무에 자국을 내는 순간의 강도를 측정하였습니다. 7가지 나무들 평균 강도는 약 100N이고, 산벚나무의 강도는 약 109N이었습니다. 산벚나무의 강도는 7가지 나무들 중 단단한 편에 속한다는 것을 첫 번째 강도 실험에서 알게 되었습니다.
Q: 강도 실험을 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 목판이 너무 단단하면 보관할 때 글자가 깨지고, 너무 무르면 인경을 많이 할 수 없어 나무의 강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이 실험을 하였습니다.
Q: 방충 실험에 대해 설명해 주시겠어요?
A: 이 실험을 하기 전에 먼저 7종류의 나무들을 3%의 소금물에 삶고, 3%의 소금물에 담그고, 무처리한 나무로 준비하였습니다. 이렇게 나무를 처리한 이유는 제가 읽은 책에서 경판재를 가공하는 방법을 참고하였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준비한 나무들에 밀웜 10마리를 넣고 성충으로 자라는 것을 관찰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3%의 소금물에 삶은 산벚나무에서 성충으로 자란 밀웜이 없었습니다.
Q: 방충실험을 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 목판에 해충이 생기면 글자를 알아보기 어렵고, 목판이기 때문에 부서질 수도 있기 때문에 해충에 강한 나무를 알아보기 위해 하였습니다.
Q: 항균력 실험에 대해 설명해 주시겠어요?
A: 방충 실험처럼 7종류의 나무로 나누어서 곰팡이를 넣고
곰팡이가 퍼지는 정도를 관찰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3%의 소금물에 삶은 박달나무가 제일 좋았고 산벚나무의 항균력은 7종류의 나무 중 4번째였습니다.
Q: 항균력 실험을 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 곰팡이가 생기면 목판에 번져서 목판 전체에 번져서 알아보기 힘들고 옻칠을 하더라도 중요한 일부 목판에만 칠했고, 항균력이 좋은 나무에 옻칠을 하면 효과가 더 뛰어나기 때문에 옻칠 전 까지 좋은 나무를 찾기 위해서 이 실험 조건을 정했습니다.
Q: 나무의 구조 실험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A: 아세트산카민 용액으로 나무를 염색하고 20배 현미경으로 횡단면과 수직단면을 관찰하였습니다. 그 결과 소나무는 실처럼 물관이 배열되어 있고 느티나무, 버드나무의 물관의 크기가 크고 불규칙으로 배열되어있고 산벚나무, 돌배나무, 박달나무의 물관의 크기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었습니다.
Q: 왜 나무의 구조 실험을 하였나요?
A: 물관의 크기가 크면 먹물이 빠져 들어가서 화선지에 찍었을 때 흐릿하게 나오니까 목판의 본질인 인경에 적합하지 않아서 인경에 적합한 물관이 작은 나무를 찾기 위해 이 실험을 하였다.
Q: 인경 실험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A: 조각도로 7종류의 나무에 글자 ‘가’를 새겼습니다. 그런 후 목판에 붓으로 먹물을 칠하고, 화선지를 올려 직접 찍어 보았습니다. 7종류의 나무 중 산벚나무 목판을 인경한 것의 글자가 가장 선명하고 깨끗하였습니다. 목판에 가장 적절한 나무가 산벚나무임을 이 실험을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Q: 왜 인경실험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나요?
A: 목판은 인경이 잘 되어야 목판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글자가 선명하고 깨끗하게 찍히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인경 실험을 하였다.
Q: 이 탐구의 결과를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A: 하나하나의 실험만 따로 보면 산벚나무가 좋다고 말할 수 없지만 여러 실험을 종합해 보면, 산벚나무의 단점은 별도의 가공과정을 통하여 보완할 수 있고, 목판의 가장 중요한 것이 글자를 찍는 것인데, 여러 종류의 나무 중에서 가장 글자가 선명하고, 깨끗하였습니다. 이런 점을 종합해 보면 목판으로 가장 적합한 나무가 바로 산벚나무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인터뷰는 제63회 전국과학전람회 식물부문에 「왜 해인사 팔만대장경은 산벚나무로 만들었을까」로 작품을 출품하여 특상을 받은 강나연 학생의 셀프 인터뷰였습니다.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17.09.08
우아! 나연 기자, 정말 놀라워요. 팔만대장경이 왜 산벚나무로 만들어졌는지, 호기심을 가진 데에서 그치지 않고 이렇게 직접 과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하고 실험한 모습이 정말 대단해요. 마치 과학자들의 연구 과정을 기록한 논문처럼 보여요.
셀프인터뷰라는 방법으로 자신의 연구 과정을 소개한 점도 무척 흥미로웠어요. 다만, 글을 다 읽기 전까지 이 글이 셀프인터뷰라는 사실을 알 수 없다는 점이 아쉽네요. 마지막에 반전처럼 놀라게 한 효과는 있었지만, 도입에서 자신의 연구 과정을 소개한다는 점을 밝혔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나연 기자의 탐구정신에 정말 박수를 보내고 싶네요. 그리고 글도 군더더기 없이 아주 자세하게, 문법적으로도 수정할 부분이 없을 정도로 완성도 있는 글이었어요. 기사 잘 읽었어요. 앞으로도 좋은 기사 많이 기대할게요. 기사 잘 읽었어요. 그리고 특상 축하해요. ^^
마지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