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수학동아 기사
세상에서 가장 귀여운 동물 TOP 5
안녕하세요, 이유진 기자입니다.
처음 쓰는 기사인 만큼 열심히 써 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번 기사의 주제로 '세상에서 가장 귀여운 동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기사에 선정된 동물들은 자주 볼 수 없기 때문에 더 귀여운 동물인 것 같습니다
(선정된 귀여운 동물은 객관적이지는 못한다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1) 알파카
출처:https://static.leisureq.io/origin/production-gajago-deal-images/c3201791-9c01-46cc-a434-c90412e556ef.jpg
알파카는 뛰는 모습이 독특하다. 구름 위를 거니는 듯이 둥실둥실 뛰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어린 알파카의 털은 양털털보다 가늘고 곧아서 따뜻하고 부드러운 직물을 만드는데 유용하다고 한다. 알파카는 해마다 보통 한 차례씩 털을 깎는데 3.1kg 정도까지 털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알파카는 낙타과 동물이라고 한다.
(2) 사막여우
출처: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86993B5BCBDA982E
사막여우는 페넥여우라고도 불린다. 사막여우는 모든 개과동물을 통틀어 가장 작은 종이며 패우 큰 귀를 가졌다.
사막여우의 서식지는 주로 모래사막의 평탄지라고 한다. 사막여우의 먹잇감은 주로 곤충에서 부터 작은 포유류,도마뱀,작은 새와 그 알까지 다양하다. 또한 열매와 식물도 먹는다. 그리고 사막여우는 야행성이다. 알려진 최대 수명은 사육환경 내에서 수컷의 경우 14년, 암컷의 경우 13년이다.
(3) 노루
출처: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59/639/imgdb/original/2019/1104/20191104500752.jpg
노루는 최소관심 종이다. 노루는 사슴과 비슷하게 생겼으나 뿔이 수컷에게만 있으며 짧고 세 개의 가지가 있다.
임신기간은 약 150일이고, 새끼는 생후 한 시간이면 걸을 수 있다고 한다. 천적은 호랑이 ,표범,불곰,늑대,검은독수리 등이다. 노루는 보통 여러가지의 잡초를 주식으로 한다고 한다.
(4) 필리핀 안경원숭이
출처:http://tourimage.interpark.com//Spot/259/18844/201511/6358269048171989606.jpg
필리핀 안경 원숭이는 귀여운 외모와 달리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 애완동물로 키우면 한달 내로 자살한다고 한다.
안경원숭이과에 속하고, 나뭇가지 사이를 돌아다니며 날도마뱀,물고기,게,곤충류를 잡아 먹는다고 한다.
특징은 눈과 귀가 크고, 꼬리는 털이 없으며 가늘고 길다. 필리핀 안경원숭이는 눈을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머리를 돌려 주위를 둘러본다.
(5) 친칠라
출처:https://lh3.googleusercontent.com/proxy/cY2cNN__ofbC4KZDA4Yr-Xh2A9pCykqos9c8xpZlvdRjgO1NkV8aqkKDMCKWxZTCscGmcGS-W8sCopNng6touvN_D0Stk7iDZXVuJx6MASuXZrzI9pBQoc_0aL9mdPNNDDFIDn4nUp6jHgkPusntZJRPNHSLtIXADGqK1aeQosCCHdCLr7CAI0gD4ab37K9JxNtgtilh2siiNhX32Q
친칠라는 피카츄의 모티브가 되었다. 친칠라는 친칠라과에 속한다. 친칠라는 앞발은 짧지만 뒷발은 길어어서 점프를 잘한다. 그리고 친칠라는 믈로 목욕시키면 절대 안되고 모래목욕을 시킨다. 또 땀구멍 하나에서 4~500개의 털이 난다. 그리고 친칠라는 멸종위급종이라고한다.
이상으로 기사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21.04.04
유진 기자, 반가워요. 오늘 첫 기사의 주제로 귀여운 동물 5종을 소개해 주었네요. ^^ 각각의 동물 모두 참 귀여운 외모를 가지고 있네요. 유진 기자가 도입에서도 말했듯이 귀엽다는 표현은 주관적인 표현이라는 점 잘 알고 있네요. 물론 오늘의 동물들의 외모가 참 귀엽다는 점에서 대부분 공감하지만, 기사의 주제로, 제목으로는 "귀엽다"는 표현이 좋은 표현이라고 보긴 좀 어려워요. 객관적인 표현으로 쓰면 좋겠어요.
그리고 글의 마지막에는 유진 기자의 생각으로 글을 정리하는 문장이 있었다면 더 좋을 것 같아요. 다음 기사를 쓸 때는 이런 부분을 기억해서 써 보길 바랄게요. 앞으로 활발한 활동 기대할게요. ^^
마지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