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수학동아 기사
피의 색깔은 다 빨간 색일까?
안녕하세요.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의 김예나 기자입니다. 왜 피는 빨간 색일까요? 그리고 지구의 모든 동물의 피는 빨간 색일까요? 아닙니다. 동물의 피 중에는 파란색, 초록색 등의 피도 있습니다.
1. 파란색, 초록색 등의 피를 가진 동물들과 그 이유
오징어 같이 뼈가 없는 연체동물은 피가 청록색, 초록색 등이라고 합니다. 왜냐하면 연체동물의 피속에는 적혈구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적혈구는 우리 몸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다면 연체동물은 산소 없이도 살 수 있는 걸까요? 그건 아닙니다. 그저 우리와 몸의 구조가 다를 뿐입니다.
곤충의 일부는 피에 마그네슘이 포함돼어 있기 때문에 피가 무색입니다. 사마귀의 경우는 피 속에 헤모시아닌이이라는 것이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이 헤모시아닌의 색깔은 초록색입니다. 사마귀의 피는 무색입니다. 하지만 내장의 색깔은 빨간 색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오래전 멸종한 공룡의 피는 무슨 색일까요? 오래전 멸종해서 정확한 것은 모르지만 척추동물이어서 붉은 색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파리를 잡으면 빨간 피가 나죠? 파리는 무척추 동물인데 왜 빨간 피가 날까요? 그건 바로 림프 액에 그 비밀이 있습니다. 파리는 혈관이 없어서 혈액이 몸속으로 흐릅니다. 거기에 림프액이 들어간 것을 혈림프 라고 합니다. 그 림프액에는 여러가지 혈색소가 들어 있습니다. 그것 때문에 피가 빨간색으로 보이는 것 입니다.
2. 피가 빨간색으로 보이는 이유
피가 빨간 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적혈구 속에 들어있는 헤모글로빈이라는 것 때문인데요, 이것은 산소와 닿으면 붉은 색으로 변합니다. 왜냐하면 헤모글로빈 속에 철분이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쇠붙이가 녹스는 것처럼 피도 산소와 닿으면 붉은 색으로 변합니다. 인도양의 어떤 물고기의 피가 하얘서 과학자들이 연구를 해 봤더니 그 물고기의 피 속에는 철분이 거의 없었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피의 색깔은 바꿀 수 있을까요? 우리 핏속의 철분이 사라지기 전까지는 절대 바꿀 수 없습니다. 이것을 대학교수가 밝혀내 학생들에게 말해 줬더니 한 학생이 자기 피의 철분으로 애인에게 반지를 만들어 선물하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처럼 우리 피에는 여러가지 성분이 들어가 있습니다. 피의 색깔을 못 바꾼다지만 전 한번 바꿔보고 싶네요.
피속의 적혈구가 들어있는 그림입니다.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blogfiles10.naver.net%2F20131031_100%2Fjsjs6704_1383206874988W0L4k_JPEG%2F998.jpg&type=sc960_832
정보 출처 : 네이버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16.10.27
오랜만에 등장한 과학 기사.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지만 한 주제를 여러 사례로 설명함.
정말 신기해요! 개인적으로 예전부터 궁금했던 주제였는데 예나 기자가 해결해 주었어요. 다른 독자들도 재미있게 읽을 것 같아요. 호기심이 생긴 주제에 대해 공부하고 정리한 점이 훌륭해요.
[그저 우리와 몸의 구조가 다를 뿐입니다.]라고 쓴 부분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해요. 혹시 한 두 문장이라도 대표적인 차이점을 서술했다면 훨씬 알찬 기사가 됐을 거예요.
[사마귀의 경우는 피 속에 헤모시아닌이이라는 것이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이 헤모시아닌의 색깔은 초록색입니다. 사마귀의 피는 무색입니다.] 부분은 이해가 잘 안 가요. 헤모시아닌이 초록색이고 사마귀의 피 속에 들어있는데 왜 안 보일까요? 조금 더 자세히 설명했다면 이해하기 쉬웠을 것 같아요.
자주 틀린 맞춤법들이 있어서 설명해 줄게요. “~이다”는 대부분의 경우 앞말과 붙여 써요. 그리고 “~ 수 있다”는 앞말과 띄어쓸 때가 많고요. 밑줄 그어 표시했으니 확인해 보고 다음 기사를 쓸 때 참고해 주세요.
우리생활에 유능하게 쓰일 정보, 정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