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제곱수의 해

2025.01.27

여러분은 2025년이 어떤해라고 생각하시나요? 대부분 60년만에 돌아온 푸른뱀의 해인 을사년이라고 많이들 생각하실텐데요. 사실 2025는 45의 제곱수랍니다! 그럼 2025년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1. 제곱수란?



먼저 제곱수의 해에 알기 전에 제곱수에 대해 알아야겠죠? 제곱수란, 어떤 정수를 제곱한 결과로 나오는 수를 말합니다. 쉽게말해 똑같은 수를 여러번 곱한 값인셈이죠. 



 



2. 제곱수의 해?



제곱수의 해는 말 그대로 제곱수의 해 인데요. 이번 2025년은 45의 제곱수입니다. 그럼 저번 제곱수의 해는 언제였을까요? 바로 44의 제곱이였던 1936년이였습니다. 1936년 이후 89년만에 돌아온 제곱수의 해인데요, 여러분은 알고 계셨나요? 



 



3. 다음 제곱수의 해는 언제?



그럼 다음 제곱수의 해는 언제일까요? 46*46을 해보면 되는데요 그러면 2116이 나옵니다. 즉 다음 제곱수의 해는2116년으로 91년을 기다려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때면 저는 할며니가 되어있겠네요,,,



 



5. 지금까지의 제곱수의 해



그럼 옛날부터 지금까지의 제곱수의 해를 알아보자.



1, 4, 9, 16, 25, 36, 49, 64, 81, 100, 121, 144, 169, 194), 225, 256, 289, 324, 361, 400, 441, 484, 529, 576, 625, 676, 729, 784, 814, 900, 961, 1024, 1089, 1156, 1225, 1296년, 1369년, 1444년, 1521년, 1600년, 1681년, 1764년, 1849년, 1936년, 2025년



 



대부분 사람들은 을사년의 해라는 것만 인식하고 있을텐데요, 이렇게 제곱수의 해라는것도 있다는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럼 모두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25.01.30

2025가 45의 제곱한 수군요. ^^ 44의 제곱이였던 1936년 이후 89년만에 제곱수의 해가 되었네요. 다음 제곱수의 해가 되려면 91년이나 더 기다려야 한다니! 그렇게 생각하면 사람이 살면서 제곱수의 해를 두 번 겪는다면 무척 행운인 것 같단 생각도 듭니다.^^ 새해가 되면 여러 가지 그 해에 대해 해석을 하곤 하는데요, 제곱수로 해석한 점 신선하네요.

목록보기

댓글 6

(20+25)^2=2025


(30+25)^2=3025


(98+01)^2=9801


다다음 제곱수의 해는 2209년이네요.

우리 다음 제곱수의 해 못 볼수도 있겠네요...

89년 만에 돌아온 제곱수의 해라니! 2025년이 특별하게 느껴져요!!
제곱수의 해에 대해 알려주셔서 흥미로웠어요~!
다음에 또 새로운 이야기가 있으면 기사로 작성해 주세요!

서진 기자님~ 제곱수에 대해 잘 설명해 주었네요!
2025년이 제곱수의 해라는 사실을 몰랐던 친구들에게 아주 유익한 기사가 될 것 같아요~!
다음 제곱수의 해인 2116년이 되면 서진 기자님은 멋진 할머니가 되어 있을 거예요!
앞으로도 유익한 정보를 팝콘플래닛에 많이 공유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