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나놀이에 담긴 과학 원리

2025.02.25

버나놀이는 우리 전통버나놀이는 우리 전통 곡예놀이로, 원반 모양의 버나(접시)를 막대 위에서 회전시키며 균형을 유지하는 놀이에요. 던지고 받기도 하며 묘기를 부리기도 한답니다.



 



-버나놀이 (출처_유네스코한국위원회)



 



그런데 신기한 버나놀이에 과학 원리가 숨겨져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버나놀이에는 세 가지 과학 원리가 담겨 있어요!



 



1. 관성의 법칙



버나를 처음 돌릴 때는 강하게 힘을 줘서 돌려야 해요. 하지만 한 번 돌리면 잘 멈추지 않아요. 이는 관성의 법칙 때문이에요. 뉴턴의 제 1법칙인 관성의 법칙에 따르면 물체는 원래의 움직임을 계속 유지하려고 해요. 버나가 회전할 때 외부에서 멈추게 하는 힘이 없으면 계속 도는 거에요.



 



2. 구심력과 원심력



버나가 떨어지지 않고 막대기 위에서 회전하는 이유 중 하나는 구심력 덕분이에요. 구심력은 원운동을 하는 물체가 중심을 향해 당겨지는 힘이에요. 반대로 원심력은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힘인데, 이 두 힘이 균형을 이루면서 버나가 안정적으로 회전하게 돼요.



 



3. 자이로스코프 효과



빠르게 회전하는 물체는 쉽게 쓰러지지 않는데, 이것을 자이로스코프 효과라고 해요. 버나가 빠르게 돌수록 균형을 더 잘 잡는 이유가 바로 이것 덕분이에요. 바퀴가 두 개뿐인 자전거도 이것 덕분에 쓰러지지 않고 균형을 잡을 수 있답니다.



 



우리 전통 곡예놀이인 버나놀이는 여러 가지 과학 원리들 덕분에 떨어지지 않고 막대기 위에서 계속 돌 수 있어요. 그 덕분에 우리도 버나놀이를 지켜보며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답니다. 버나놀이를 직접 체험해보면서 그 속에 담긴 과학 원리를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글쓰기 평가어린이과학동아 기자2025.02.26

원반 모양의 접시를 돌리는 놀이를 버나 놀이라고 하는군요. 서커스 같은 곳에서 비슷한 걸 본 적이 있는데, 우리나라 전통 놀이에도 이런 게 있네요. 버나 놀이라고 부르는 건 처음 알았네요. 버나 놀이에 담겨진 과학 원리 3가지를 잘 찾았네요. ^^

목록보기

댓글 1

버나 놀이에 대해 알 수 있어 유익한 기사였어요.

우리 전통놀이에도 과학적 원리가 숨겨져 있다니 재미있네요!

다음에 버나 놀이를 볼 기회가 생긴다면 유심히 관찰해야겠어요~!

혜율 기자님! 앞으로도 팝플에 재미있는 기사 많이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