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수학동아 토론터
어린이의 소셜 미디어 사용을 금지하는 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토론기간 2024.11.01 ~ 2024.12.01
지난 10월부터 호주와 미국 캘리포니아주, 유타주 등 전 세계 곳곳이 어린이와 청소년의 소셜 미디어 사용을 규제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어요. 소셜 미디어에 교육적이지 않은 콘텐츠가 많고, 어린이에게 소셜 미디어 중독을 유발한다는 게 이유지요.
(자료: 게티이미지뱅크)
지난 9월, 미국 종합 IT기업 메타도 18세 미만의 청소년과 아동의 인스타그램 계정을 비공개로 바꿨어요. 어린이가 인스타그램을 다시 사용하고 싶으면 보호자의 허락이 필요하고, 보호자는 어린이의 인스타그램 사용 시간을 제한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어요. 우리나라도 이 같은 조치가 내년 1월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이를 두고 해당 법안은 어린이의 자유를 침해한다며 반대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이들은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지 못하게 한다고 해서 소셜 미디어 중독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고 주장해요. 소셜 미디어를 건전하게 사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거예요.
여러분은 어린이의 소셜 미디어 사용을 금지하는 조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찬성: 어린이의 소셜 미디어 사용을 금지하는 법에 찬성한다.
반대: 어린이의 소셜 미디어 사용을 금지하는 법에 반대한다.
토론터에 의견을 작성해 줄 때는 찬성 또는 반대하는 견해를 먼저 밝히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유를 꼭 작성해 주세요. 의견 없이 작성할 경우, 삭제 조치 될 수 있습니다.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우리 모두 노력합시다!
자신과 반대되는 의견이라고 ‘신고’를 누르지 마세요.
가장 ‘좋아요’를 많이 받은 찬성, 반대 댓글자와 시끌벅적 토론터 주제에 선정된 친구에게는 50DS 포인트를 드립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안전과 정신 건강을 위한 소셜 미디어 규제의 필요성>
안녕하세요! 이주연 기자입니다!! 저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소셜 미디어 사용을 제한하는 법에 찬성합니다! 소셜 미디어는 우리 생활에서 소통과 정보 공유의 중요한 수단이 되었지만, 어린이와 청소년에게는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이들이 충분히 성숙하지 못한 상황에서, 소셜 미디어의 여러 중독적인 요소와 부적절한 콘텐츠를 스스로 걸러내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를 법적으로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법이 어린이와 청소년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을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에 대해 저는 세 가지 이유를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첫째, 소셜 미디어 중독의 위험성. 오늘날 소셜 미디어는 매우 중독적인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습니다. ‘좋아요’ 개수나 ‘팔로워’ 수, 인기 콘텐츠 추천 시스템 등은 사용자가 끊임없이 소셜 미디어에 접속하도록 유도합니다. 성인도 소셜 미디어의 중독성을 극복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아직 판단력이 충분히 성숙하지 않은 어린이나 청소년은 더욱 쉽게 이러한 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큽니다.
소셜 미디어 중독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정신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최근 옥스퍼드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의 과도한 사용은 불안감과 우울감을 증가시키고, 자아 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의 게시물을 보며 비교 의식이 커지고, 자신이 그만큼 인정받지 못한다고 느끼면 스트레스와 불안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은 또래의 평가에 민감하기 때문에, 타인의 ‘좋아요’나 댓글에 의존해 자신의 가치를 판단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로 인해 스스로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거나, 자존감이 낮아지는 등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소셜 미디어 중독은 일상생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계속해서 소셜 미디어를 확인하고 싶어 공부 시간이나 휴식 시간에 집중하지 못하게 되고, 잠자리에서도 휴대폰을 놓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수면 부족이 생기기도 하며, 피로감과 학업 성취도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소셜 미디어 중독이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부정적이므로, 이들의 사용을 제한하는 법적 규제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둘째, 부적절한 콘텐츠에 노출될 가능성. 어린이와 청소년은 아직 사회적, 정서적 발달 단계에 있으며, 부적절한 콘텐츠에 노출되었을 때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판단하는 능력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에는 교육적이고 유익한 정보도 있지만, 동시에 유해하거나 부정확한 정보도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인 콘텐츠, 가짜 뉴스, 혐오 표현 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어린이들은 부적절한 콘텐츠에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왜곡된 가치관이나 잘못된 행동을 따라 할 위험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챌린지나 위험한 행동을 담은 콘텐츠가 인기를 끌 때, 어린이나 청소년은 이를 무심코 따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신체적 위험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올바르지 못한 사고방식을 형성하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더욱이, 소셜 미디어는 다른 사람들의 삶을 화려하고 긍정적으로 보여주려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현실과 이상을 구분하지 못하고 자신을 낮게 평가하거나, 현재의 생활에 만족하지 못하는 부정적인 생각을 가질 가능성도 큽니다. 이처럼 부적절한 콘텐츠의 영향이 어린이와 청소년의 가치관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 사용을 제한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셋째, 어린이와 청소년의 학습 능력과 집중력 저하 문제. 소셜 미디어의 과도한 사용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학습 능력과 집중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에서는 짧고 자극적인 영상이나 게시물이 빠르게 업데이트되며,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연속적으로 콘텐츠를 소비하게 만듭니다. 그 결과, 어린이나 청소년은 긴 시간 동안 집중하기가 어려워지고, 특히 학습을 하는 동안에도 소셜 미디어에 대한 생각이나 확인 욕구로 인해 산만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에서 인기를 끄는 짧은 동영상 플랫폼은 재미있고 흥미롭지만, 이러한 짧은 콘텐츠에 익숙해지면 책을 읽거나 긴 글을 이해하는 능력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은 아직 학습에 필요한 집중력을 발달시키는 단계에 있으며, 소셜 미디어가 이들에게 방해 요소가 된다면, 이는 학업 성취도와 학습 태도에도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소셜 미디어의 과도한 사용은 자기 통제 능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스스로 소셜 미디어 사용 시간을 조절하지 못하게 되면, 나중에는 생활 전체가 소셜 미디어에 의해 지배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어린이나 청소년이 자신의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를 잊고 소셜 미디어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면, 이는 자신의 미래에 도움이 되지 않는 행동 습관을 형성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처럼 소셜 미디어가 어린이와 청소년의 학습과 집중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이들의 사용을 제한하는 법적인 조치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소셜 미디어 사용을 제한하는 법적 규제가 어린이의 정신적·육체적 건강을 지키고, 미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자영 기자입니다.
저는 어린이의 소셜미디어 사용을 금지하는 법에 대해 반대합니다.
1. #위터, #튜브, #스타그램 등 어린이들, 심지어 어른들까지즐겨보는 것이 바로! 소 셜 미 디 어 입니다.
어른은 가능한데 어린이는 왜 안된다는 거죠? 모든 것은 다 공평해야합니다. 근데 왜 어른들은 소셜미디어 사용을 금지하지 않나요? 오히려 우리 어린이들은 학교, 학원 등을 가야 되기 때문에 무언가를 기다리는 시간, 또는 비어있는 시간에만 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금밖에 하지 못하지만, 어른들은 생각해보면 만약 무직일 경우, 대부분 월 화 수 목 금 토 일 맨날 하지 않을까요? 그럼 그때 상황에는 어쩔거죠? 어른이 어린이보다 훨씬 더 많이 소셜미디어를 사용하지 않을까요?
2.가정에서 규제를 하는 것은 어떨까요? 넓게 그러니까 나라로 보지 말고 가정으로 생각해봅시다. 가정에서 규제를 하는 것이 더 편하지 않을까요? 어떤 부모님들, 그러니까 어떤 어른들은 어린이의 소셜미디어 사용을 금하는 법안에 대해 반대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 가정에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훨씬 더 낫지 않을까요? 그러니 너무 넓게 생각하지 마시고 좁게좁게, 가정으로 생각해 봅시다.
3. 앱(App)을 까는(다운로드) 것이 어떨까요? 방금 말한 2. 내용과 연관되는 내용입니다. 저나 제 친구 같은 경우에는 #바일펜스, #밀리링크 등을 사용하여 가정에서 규제합니다. 솔직히 저도 불편하긴 합니다. 그래도 너무 엄격히 지키는 것은 너무 과하게 지나치는 것 아닐까요? 옛말에 과유불급(過遺不扱)(한자가 틀릴수도 있습니다)이라고 했습니다.
4.여러분들은 대부분 소셜미디어를 최소 한 번 쯤은 하셨을 겁니다. 자신의 핸드폰이 없어도 부모님의 핸드폰을 엿보아서라도 보긴했을 겁니다. 그 뜻은 부모님의 핸드폰을 엿보는 것도 소셜미디어를 사용한다는 것과 같다고 저는 생각합니다.(물론 어떤 분들은 그렇게 생각 안 하실 수 도 있습니다) 그말인 즉슨, 만약 어린이가 소셜미디어 사용을 금하는 법안이 생겨났다 하였을 때, 어른들도 소셜미디어 사용을 멈춰야합니다. 그래야 어린이들이 어른들이 보는 소셜미디어를 보지 않으니깐요.
위 4가지 의견으로 통해 저는 어린이의 소셜미디어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에 대해 반대합니다.
저는 어린이의 소셜 미디어 사용을 금지하는 것에 대해 찬성합니다. 그 이유는 자음과 같습니다.
첫째, 소셜 미디어를 너무 많이 사용하면 어린이에게 적합하지 않은 장면을 마주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둘째,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다보면 다른 사람들이 모두 나보다 잘 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자신감 감소)
이상 최승유 기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셋째, 청소년은 이런 자극적인 내용을 접하면 성인보다 도파민이 더 나온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뉴런의 발화점이 더 낮기' 때문있니다. 뉴런이 발화하려면 일정한 자극이 필요한데 어린이는 이 자극의 세기가 작아도 발화가 됩니다. 그 결과, 청소년의 뉴런은 작은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상대적으로 소셜미디어 및 휴대폰 과몰입의 주범인 도파민을 더 많이 방출하게 됩니다. 그러면 당연히 중독에 취약하게 됩니다.
넷째, 소셜 미디어는 많은 사람이 이용하기 때문에 댓글, 채팅 등에서 나쁜 내용의 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그런다면 자연히 청소년의 정신 건강에 큰 영향을 미키고 모방 가능성으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공학계에서는 GIGO (Garbage in garbage out) 즉, 안 좋은 내용을 접하게 되면 안 좋은 영향이 그대로 간다는 뜻인데요, 이처럼 미성년자는 더욱더 악영향에 취약하다는 뜻입니다.
저는 위 주장으로 찬성하는 입장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위 주제에 대해 찬성하는 입장입니다.
첫째, 소셜 미디어는 조회수나 좋아요, 팔로워 등 사람들의 반응을 끌어올리기 위해 거짓의 정보, 자극적인 영상을 만들어 미성년자에게 해로울 수 있습니다. 성인도 조절하기 어려운 소셜 미디어를 더군다나 절제력, 판별력이 약한 미성년자에게 허용한다면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둘째,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어린이는 절제력이 약합니다. 소셜 미디어에는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수단으로써 방대한 양의 영상이나 사진, 글 등이 있는데 아이들은 점점 그 내용에 빠져들며 조절이 어려운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혹시 이런 경우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을 아시는 분 추후 댓글 달아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어린이 소셜 미디어 사용을 금지하는 것은 어린이들의 권리를 빼앗는다고 생각합니다.
어린이도 이제 소셜 미디어에도 약간 익숙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중에도 애들의 조회수로 먹고사는 건전건전한 키즈채널은 망하라는 소리입니까?키즈크리에이터는 일 강제로 그만두란 소리입니까?팝콘플래닛도 소셜 미디어인데 팝콘플래닛을 망하게 하겠단 소리입니까?
희진 기자님의 말씀도 틀린건 아니지만 지금 희진기자님의 의견에는 여러가지 논리적 오류 (Logical fallacy)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 허위 딜레마 (False Dilemma)허위 딜레마는 두 가지 선택지만 제시하며, 이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오류입니다. 손희진 기자님은 "애들의 조회수로 먹고사는 건전한 키즈 채널은 망하라는 소리입니까?" "키즈 크리에이터는 일 강제로 그만두란 소리입니까?" "팝콘플래닛을 망하게 하겠단 소리입니까?"라고 말하며 소셜미디어 규제가 키즈 채널이나 크리에이터들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 주장은 규제의 필요성 자체에 대한 반대 의견으로, 소셜미디어 규제가 건전한 키즈 채널이나 크리에이터에게도 피해를 준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소셜미디어 규제가 반드시 모든 키즈 채널이나 크리에이터에게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성급한 결론입니다. 법안이 통과될 때는 안전하고 교육적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크리에이터들이 계속해서 활동할 수 있도록 충분히 고려되며, 유해한 콘텐츠를 걸러내는 것이 목적입니다. 그러므로 "건전한 채널이 망한다"는 주장 자체가 잘못된 양자택일을 제시하는 오류입니다. 규제가 건전한 콘텐츠에 미치는 영향은 부정확한 가정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2. 잘못된 일반화 (Hasty Generalization)희진 기자님은 "애들의 조회수로 먹고사는 건전한 키즈채널"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소셜미디어 규제가 모든 키즈 채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이는 일반화의 오류로, 일부 채널이나 크리에이터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해서 전체적으로 규제가 전부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규제의 목적은 유해 콘텐츠를 차단하고, 건전한 콘텐츠 제공자들은 오히려 더 안전한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이므로, 규제의 영향이 모두 부정적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3. 피할 수 없는 결과 (Slippery Slope)"키즈 크리에이터는 일 강제로 그만두란 소리입니까?" "팝콘플래닛을 망하게 하겠단 소리입니까?"라는 주장은 피할 수 없는 결과를 강조하는 오류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것은 소셜미디어 규제가 시행되면 모든 키즈 크리에이터가 강제로 일을 그만두고, 팝콘플래닛과 같은 건전한 콘텐츠 제공 채널이 망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소셜미디어 규제는 유해 콘텐츠를 걸러내고 안전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지, 모든 키즈 크리에이터를 강제로 그만두게 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팝콘플래닛과 같은 건전한 콘텐츠 제공자는 여전히 소셜미디어에서 활동할 수 있으며, 규제는 오히려 이러한 채널들이 더욱 안전한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규제의 결과가 반드시 모든 크리에이터에게 부정적일 것이라는 예상은 과도한 추정입니다.
4. 감정적 호소 (Appeal to Emotion)"팝콘플래닛을 망하게 하겠단 소리입니까?"라는 표현은 감정적 호소의 예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상대방이 논리적으로 반박하기 어렵도록 감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한 표현입니다. "망하게 한다"는 말은 지나치게 극단적인 표현으로, 소셜미디어 규제의 목적이 크리에이터들이 "망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안전하고 유익한 콘텐츠를 장려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김희진 기자님의 주장은 주로 허위 딜레마, 잘못된 일반화, 피할 수 없는 결과, 그리고 감정적 호소와 같은 논리적 오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소셜미디어 규제의 본질은 유해한 콘텐츠를 차단하고, 안전하고 교육적인 콘텐츠가 더 좋은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며, 이는 모든 키즈 크리에이터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자영 기자입니다.
저는 어린이의 소셜미디어 사용을 금지하는 법에 대해 반대합니다.
1. #위터, #튜브, #스타그램 등 어린이들, 심지어 어른들까지즐겨보는 것이 바로! 소 셜 미 디 어 입니다.
어른은 가능한데 어린이는 왜 안된다는 거죠? 모든 것은 다 공평해야합니다. 근데 왜 어른들은 소셜미디어 사용을 금지하지 않나요? 오히려 우리 어린이들은 학교, 학원 등을 가야 되기 때문에 무언가를 기다리는 시간, 또는 비어있는 시간에만 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금밖에 하지 못하지만, 어른들은 생각해보면 만약 무직일 경우, 대부분 월 화 수 목 금 토 일 맨날 하지 않을까요? 그럼 그때 상황에는 어쩔거죠? 어른이 어린이보다 훨씬 더 많이 소셜미디어를 사용하지 않을까요?
2.가정에서 규제를 하는 것은 어떨까요? 넓게 그러니까 나라로 보지 말고 가정으로 생각해봅시다. 가정에서 규제를 하는 것이 더 편하지 않을까요? 어떤 부모님들, 그러니까 어떤 어른들은 어린이의 소셜미디어 사용을 금하는 법안에 대해 반대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 가정에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훨씬 더 낫지 않을까요? 그러니 너무 넓게 생각하지 마시고 좁게좁게, 가정으로 생각해 봅시다.
3. 앱(App)을 까는(다운로드) 것이 어떨까요? 방금 말한 2. 내용과 연관되는 내용입니다. 저나 제 친구 같은 경우에는 #바일펜스, #밀리링크 등을 사용하여 가정에서 규제합니다. 솔직히 저도 불편하긴 합니다. 그래도 너무 엄격히 지키는 것은 너무 과하게 지나치는 것 아닐까요? 옛말에 과유불급(過遺不扱)(한자가 틀릴수도 있습니다)이라고 했습니다.
4.여러분들은 대부분 소셜미디어를 최소 한 번 쯤은 하셨을 겁니다. 자신의 핸드폰이 없어도 부모님의 핸드폰을 엿보아서라도 보긴했을 겁니다. 그 뜻은 부모님의 핸드폰을 엿보는 것도 소셜미디어를 사용한다는 것과 같다고 저는 생각합니다.(물론 어떤 분들은 그렇게 생각 안 하실 수 도 있습니다) 그말인 즉슨, 만약 어린이가 소셜미디어 사용을 금하는 법안이 생겨났다 하였을 때, 어른들도 소셜미디어 사용을 멈춰야합니다. 그래야 어린이들이 어른들이 보는 소셜미디어를 보지 않으니깐요.
위 4가지 의견으로 통해 저는 어린이의 소셜미디어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에 대해 반대합니다.
저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미디어 사용 권한을 제한하는 것에 찬성합니다! 거기엔 2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바로, 어린이는 요즘 나쁜 말을 쓰고 미디어 사용 예절에 대해 잘 모르는 어린이가 많기 때문입니다. 어린이는 미디어에서 나쁜 말을 쓰고,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줄 위험이 큽니다. 뉴스에서도 초등학생들이 서로 욕설을 주고받는다는 이야기가 나왔어요. 두번째는, 소셜 미디어에 나쁜 영상이나 사진을 올리는 사람들이 많은데, 어린이들도 그에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이죠. 그러므로 저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미디어 사용 권한을 제한하는 것에 찬성합니다!
욕은 요즘에 청소년 뿐만 아니라 어른 세대들도 많이 쓰고, 고치기 위해서는 꽤 오랜 시간이 걸릴 겁니다. 그리고 나쁜 콘텐츠는 찾아보지 않는다면 안 나옵니다.
왜냐하면 소셜미디어를하는 것은 자유이고 아이들에게도 여가생활을 누릴 수있고 대민국 헌법 10조 에는 '국민들은 하고싶은 것을 누릴수 있다'라고 돼있기 때문이예요.
저도 소셜 미디어 금지법에 반대해요
첫번째 이유로 중독이 되지 않게 타이머를 맞추거나 하면 스트레스 해소에도 좋고 따분한 시간을 즐길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생활꿀팁이나 신기한 사실, 유행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금지를 하기 보다 스스로 절제하는것이 중독을 방지하기에 좋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소셜 미디어 금지법에 반대합니다.
그 까닭은 첫 번째, 많이 해서 소셜 미디어 중독을 유발한다는 것이지, 하루에 5~10분은 중독성에 안 걸릴거라고 생각합니다. 18세 미만 어린이는 대부분 핸드폰은 스크린 타임 같은 시간이 다 되면 종료하게 되어 핸드폰 중독, 소셜 미디어 중독에 걸릴 위험이 적습니다.
두번째, 저는 교육적이지 않는 영상보다 교육적인 영상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나쁜 영상이 많으면 진작부터 그런 조치가 일어났을 것 같습니다.
세 번째, 요즘에는 디지털이 발달하고 있는데, 어른들만 그런 자유를 누리는게 불공평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소셜 미디어 금지법에 반대합니다.
저는 아이들이 소셜미디어 사용을 금지하는 법에 찬성합니다.
1.인*그램에 있는 문제
인*그램에서 자랑하는 것들의 90%는 거짓으로 만든 것입니다. 그런데 그걸 본 아이들 중 몇몇은
그것의 부러움때문에 자신이 가진것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2.랜덤채팅에 있는 나쁜점
랜덤채팅은요(하.. ) 있으면 안될 나쁜일들이 많이일어납니다. 예를들어 성별이나 나이를 바꿔서 초등학생들을 유혹한답니다. 처음에는 여러가지 쿠폰을 보내주고 사탕발린말을 하지만 가면속에숨어있는 얼굴을 우리는 알수없지요,,
3. 유*브 에있는 나쁜점
유*브는 좋은컨텐츠도 있긴합니다. 하지만 나쁜컨텐츠도 있죠, 아이들이 보면 안될 부적절한 콘텐츠 선정적인 콘텐츠도 많죠
그런데 여기서 문제는 거기의 90%를 초등학생들이 본답니다. 그런데 그 나쁜 내용들을 아이들이 모방한다면 얼마나 끔찍하겠어요,,
저는 이런이유로 인*그램 랜덤채팅 유*브가 포함된 소셜 미디어를 아이들이 사용하는것을 법으로 금지하는것에 찬성합니다.
이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유이재 기자였습니다.
그리고 랜덤채팅은요 앱 *토어에서 검색하면 나온답니다.
그리고 유*브 에선 부적절한 컨텐츠는 원하지 않아도 나올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부 SNS회사는 돈을 벌기 위해서 자극적인 컨텐츠를 넣으면서 돈을 벌어요. 유*브도 자극적인 컨텐츠를 넣으면서 조회수를 올리며 돈을 번답니다.
저는 어린이 소셜미디어 금지법에 대해 반대합니다.
소셜미디어는 지금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이나 컨텐츠 등을 표현하고 소통을 하는데 이용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소셜미디어는 단순히 t위터나 인스타그램이 아니라 카카x톡 유x브 등등도 소셜미디어에 해당됩니다. 그러므로 이 많은 소셜미디어 등등을 제한한다는 것은 너무 가혹해
이 글을 쓰게 됩니다
1. 교육적 컨텐츠
소셜미디어에는 비교육적 컨텐츠만 있는것이 아닙니다. 실제 학교 교육에서도 교육적인 유x브 영상 등등을 이용합니다. 또 유x브에 영어공부를 도와주는 컨텐츠, 취미 생활(큐브,퍼즐,도미노)를 가르쳐 주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교육적인 컨텐츠를 뒤로하고 소셜미디어에 비교육적인 컨텐츠만 있다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청소년이 소셜미디어를 금지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는데, 저는 소셜미디어에도 충분히 교육적이고 가치있는 프로그램이 많다고 합니다. 실제로 저도 유x브에서 취미생활로 큐브를 배우고 싶이서 찾아서 배운적이 있습니다.
2. 소셜미디어의 범의
청소년 소셜미디어 금지법에 찬성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인스타그램 t위터 페이스북을 생각하시지만
소셜미디어는 사람과 정보를 연결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기반의 플랫폼을 말합니다.(출처: 위키백과 소셜 미디어) 그러므로 소셜미디어는 카카x톡, 유x브, baxd, email, nexver, 등등이 모두 소셜미디어에 포함됩니다. 그러므로 소셜미디어 금지란 이 모든 프로그램을 금지하는 것이므로 사실상 부모님이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활동을 허락하지 않을 시 청소년의 핸드폰은 전화와 문자, 타이머 등등만 이용되는 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3.중독성
청소년 소셜미디어 금지법에 찬성하는 분들은 중독성에 주목하셨는데요. 이는 부모님과
상의후 충분히 고쳐질 수 있다고 봅니다.
실제로 지금 청소년 핸드폰 사용 제지 앱이 나오고 있습니다
(familly xink, zxm등등)
이런앱을 바탕으로 부모님과 충분한 협의로 잘 사용 할수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이런 이유로 저는 이 주제에 반대합니다.
안녕하세요, 전혜원 기자입니다.
저는 어린이 소셜미디어 금지법에 대해 반대합니다. 일단, 소셜미디어는 개인의 자유이고 가정에서 제안을 두는 경우도 많은데
굳이 나라에서 까지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소셜미디어도 잘만 사용하면 부작용 보다 이로운 점도 많기에 나라에서까지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억지로 규제를 한다면 오히려 부작용이 생겨 나중에 소셜미디어를 할 수 있는 나이가 되었을 때 다른 부작용이 생길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러한 이유로 어린이 소셜미디어 금지법에 대해 반대합니다.
최근에는 조회수, 사람들의 반응 등을 목적으로 좋지 않은, 미성년자에게 악영향을 끼치는 내용이 많습니다. 소셜 미디어를 할 수 있는 나이가 되면 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허가를 해주는 것입니다.성인이 되면 미성년자보다 판단력도 훨신 강해지고 앞서 말씀드렸듯이 좋은 내용과 나쁜 내용을 거를 수 있는 선별력도 크게 증가합니다.감사합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안전과 정신 건강을 위한 소셜 미디어 규제의 필요성>
안녕하세요! 이주연 기자입니다!! 저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소셜 미디어 사용을 제한하는 법에 찬성합니다! 소셜 미디어는 우리 생활에서 소통과 정보 공유의 중요한 수단이 되었지만, 어린이와 청소년에게는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이들이 충분히 성숙하지 못한 상황에서, 소셜 미디어의 여러 중독적인 요소와 부적절한 콘텐츠를 스스로 걸러내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를 법적으로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법이 어린이와 청소년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을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에 대해 저는 세 가지 이유를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첫째, 소셜 미디어 중독의 위험성. 오늘날 소셜 미디어는 매우 중독적인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습니다. ‘좋아요’ 개수나 ‘팔로워’ 수, 인기 콘텐츠 추천 시스템 등은 사용자가 끊임없이 소셜 미디어에 접속하도록 유도합니다. 성인도 소셜 미디어의 중독성을 극복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아직 판단력이 충분히 성숙하지 않은 어린이나 청소년은 더욱 쉽게 이러한 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큽니다.
소셜 미디어 중독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정신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최근 옥스퍼드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의 과도한 사용은 불안감과 우울감을 증가시키고, 자아 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의 게시물을 보며 비교 의식이 커지고, 자신이 그만큼 인정받지 못한다고 느끼면 스트레스와 불안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은 또래의 평가에 민감하기 때문에, 타인의 ‘좋아요’나 댓글에 의존해 자신의 가치를 판단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로 인해 스스로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거나, 자존감이 낮아지는 등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소셜 미디어 중독은 일상생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계속해서 소셜 미디어를 확인하고 싶어 공부 시간이나 휴식 시간에 집중하지 못하게 되고, 잠자리에서도 휴대폰을 놓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수면 부족이 생기기도 하며, 피로감과 학업 성취도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소셜 미디어 중독이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부정적이므로, 이들의 사용을 제한하는 법적 규제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둘째, 부적절한 콘텐츠에 노출될 가능성. 어린이와 청소년은 아직 사회적, 정서적 발달 단계에 있으며, 부적절한 콘텐츠에 노출되었을 때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판단하는 능력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에는 교육적이고 유익한 정보도 있지만, 동시에 유해하거나 부정확한 정보도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인 콘텐츠, 가짜 뉴스, 혐오 표현 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어린이들은 부적절한 콘텐츠에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왜곡된 가치관이나 잘못된 행동을 따라 할 위험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챌린지나 위험한 행동을 담은 콘텐츠가 인기를 끌 때, 어린이나 청소년은 이를 무심코 따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신체적 위험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올바르지 못한 사고방식을 형성하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더욱이, 소셜 미디어는 다른 사람들의 삶을 화려하고 긍정적으로 보여주려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현실과 이상을 구분하지 못하고 자신을 낮게 평가하거나, 현재의 생활에 만족하지 못하는 부정적인 생각을 가질 가능성도 큽니다. 이처럼 부적절한 콘텐츠의 영향이 어린이와 청소년의 가치관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 사용을 제한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셋째, 어린이와 청소년의 학습 능력과 집중력 저하 문제. 소셜 미디어의 과도한 사용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학습 능력과 집중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에서는 짧고 자극적인 영상이나 게시물이 빠르게 업데이트되며,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연속적으로 콘텐츠를 소비하게 만듭니다. 그 결과, 어린이나 청소년은 긴 시간 동안 집중하기가 어려워지고, 특히 학습을 하는 동안에도 소셜 미디어에 대한 생각이나 확인 욕구로 인해 산만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에서 인기를 끄는 짧은 동영상 플랫폼은 재미있고 흥미롭지만, 이러한 짧은 콘텐츠에 익숙해지면 책을 읽거나 긴 글을 이해하는 능력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은 아직 학습에 필요한 집중력을 발달시키는 단계에 있으며, 소셜 미디어가 이들에게 방해 요소가 된다면, 이는 학업 성취도와 학습 태도에도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소셜 미디어의 과도한 사용은 자기 통제 능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스스로 소셜 미디어 사용 시간을 조절하지 못하게 되면, 나중에는 생활 전체가 소셜 미디어에 의해 지배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어린이나 청소년이 자신의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를 잊고 소셜 미디어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면, 이는 자신의 미래에 도움이 되지 않는 행동 습관을 형성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처럼 소셜 미디어가 어린이와 청소년의 학습과 집중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이들의 사용을 제한하는 법적인 조치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소셜 미디어 사용을 제한하는 법적 규제가 어린이의 정신적·육체적 건강을 지키고, 미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 중독 문제: 시간을 정해 놓고 쓰거나, 젬 같은 앱을 사용하면 쉽게 해결될 것 같습니당!
2. 부적절한 콘텐츠: 따로 찾아보지 않는 이상 나오진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것 같아요!
3. 집중력 저하 문제와 청소년 학습력 저하 문제: 공부를 열심히 해서 보상을 준다거나 하는 규칙을 만들면 좋을 것 같아요 :)
4. 자기 통제 능력 악화 문제: 이것도 앱을 사용하거나 규칙을 만들면 해결될 것 같네욤
솔직히 4개 다 반박할 거 머리 쥐어 짜서 만든 거라서.. 진짜 문장가 수준이시네요 하.. 뭐해요! 주연님 글 추천 누르고 튀세요!!
저는 어린이 소셜 미디어 사용 금지법을 반대합니다. 미국과 호주, 그리고 대부분의 나라는 민주주의입니다. 민주주의 나라의 어린이들에게는 자유가 있습니다.
소셜미디어를 하는 것이 범죄도 아닌데, 소셜미디어 금지법은 어린이들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입니다.
소셜미디어 사용 금지법보다 창체시간에 올바른 소셜미디어 사용법 또는 소셜미디어를 오래하면 안좋은 점 등을 설명해주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런 이유로 어린이 소셜미디어 금지법에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