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수학동아 토론터
‘전 성분 표시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토론기간 2021.07.30 ~ 2021.08.15
이번 토론터 주제는 화학기자단과 동일한 토론 주제입니다.
‘전 성분 표시제’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나요? 전 성분 표시제는 안전과 건강을 염려하는 소비자를 위해 제품 속에 들어 있는 성분을 모두 표시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예요. 화장품, 장난감, 의약품 등 우리 생활 속에는 여러 화학물질로 이루어진 제품이 많은데, 제품의 성분을 표시함으로써 소비자들은 원하는 제품을 주도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만든 제도예요. 기업 역시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안전한 성분을 사용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요.
하지만 화학 성분의 이름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적인 소비자에게는 오히려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의견도 있어요. 주요 성분을 표기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정보를 줄 수 있는데, 전 성분을 표기함으로써 일반 소비자가 소량 사용된 성분에 대해 무조건 거부하거나 잘못된 정보를 주고받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지요. 여러분은 전 성분 표시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이번 토론터 주제는 화학기자단의 첫 번째 토론 주제였어요. 어과동 친구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해 토론 주제로 선정하였답니다.
찬성 : 전 성분 표시제에 찬성해요.
반대 : 전 성분 표시제에 반대해요.
토론터에 의견을 작성해 줄 때는 찬성 또는 반대하는 견해를 먼저 밝히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유를 꼭 작성해주세요. 의견 없이 작성할 경우, 삭제 조치 될 수 있습니다.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우리 모두 노력합시다!
자신과 반대되는 의견이라고 ‘신고’를 누르지 마세요.
가장 ‘좋아요’를 많이 받은 찬성, 반대 댓글자와 시끌벅적 토론터 주제에 선정된 친구에게는 50DS 포인트를 드립니다.
이제부터 저는 제가 반대하는 이유를 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 저도 솔직히 말하면 성분 표시제를 잘 보지않는 편입니다.때때로 본다고 하더라도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인터넷에 일일이 쳐보기도 그렇고 부모님께 일일이 여쭈어 보기에도 힘들어서 잘 확인하지 않는 편입니다.
두번째, 저는 만약 알약을 먹는다 하면 하루에 몇알씩 먹는지만 확인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굳이 여기에는 뭐가 들어있고 무슨 성분이 무슨 말이고 까지는 봐야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만약 누구에게 소개해준다면 볼수 있겠지요.하지만 요즘은 인터넷이 활성화 되어있기 때문에 인터넷에 요약되어있는 정보를 가지고도 소개를 시켜줄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세번째, 성분표시제가 없어도 요약되있는 중요한 부분만 보면 ''아~~~그렇구나!!!''라고 알수 있습니다.
네번째, 성분 표시제는 이해하기 어려웁니다.
그래서 만약 모르겠는 성분이 있다 ''이게 뭐야??이거 모르는 거잖아~!!에라 그냥 먹어야겠다~!!''라고 생각할수 있습니다.그래서 어려운 단어 말고 중요하고 간략하게 표시 되면 좋을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이 주제에 반대하는 박연호기자였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물론 제 생각이 어이 없을수도 있지만 저는 이 주제에 반대합니다~
왜냐하면 전 성분 표시제가 없다면 무엇이들어있는지 알지못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전 성분 표시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에 반대합니다.
왜냐하면
그렇게 많은 성분을 표시하면 보기가 힘듦니다.
중요하거나 꼭 봐야한 성분만 표시를 했으면 좋겠습니다.
전 성분을 다 보게돼면 혼란이 올수 있습니다.
그리고 성분을 잘못봐서 버리거나 환불을 요청할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전 성분을 쓰개돼면 그걸 쓰면서 뭐 성분을 잘못표시할수도 있고 오타가 날수도 있습니다.
어떤분은 그걸 또 잘못이해하실수도 있습니다.
둘째, 전 성분 표시제가 없으면 유통기한을 알 수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들을 먹다가 배탈이 난 적이 많습니다. 유통기한을 모르는 상황에서 식품을 먹으면 찝찝한 기분도 들고요. 저는 이런 이유로 이번 논제에 찬성합니다. 이상 이윤서 기자였습니다.
저는 이번 토론 주제인 " 전 성분 표시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 라는 논제에 반대합니다 .
왜냐하면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위 토론 주제에도 있듯이 화학 성분의 이름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적인 소비자들에게 혼란도 충분히 줄 수 있습니다.
둘째, 게다가 요즘에는 사람들이 전 성분 표시제라든지
표시제 자체를 안 보고 사는 경우도 있습니다. ( 물론 저 같은경우에는 표시제를 보고 삽니다 . )
그러면 전 성분을 표시할 이유도 없습니다 .
+ 완전히 적지 않으면 어떤 것이 들어가는지 모르기때문에
중요한 것들만 따로 적는 게 가장 낫다고 생각합니다 .어렵거나 이해하기 힘든 말이나 문구를 잘못 이해하면 잘못된 정보가 떠돌아다녀 그 물건을 만든
회사나 공장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셋째, 어렵거나 이해하기 힘든 말이나 문구를 봤을 때,
만약 잘 못 이해한다면 잘못된 정보가 떠돌다닐 수 있어
그 회사나 공장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
위 이유들로 저는 이번 주제인 전 성분 표시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라는 논제에 반대합니다 .
감사합니다
첫째, 안전한 물건을 소비자가 고를 수 있습니다. a라는 사람은 새우 알레르기가 있습니다. 전 성분 표시가 되어있지 않은 b사의 식품을 샀습니다. 이 식품은 새우가 들어가 있습니다. 이 경우, 전 성분 표시가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모르고 소비자가 사서 섭취하였을 경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둘째, 제조날짜 및 유통기한을 알 수 있습니다. 유통기한은 언제인지 모르다가 유통기한이 지났지만 모르고 먹다 탈이 나거나 안 좋은 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셋째, 표시가 되어있지 않을 경우 기업의 피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전 성분 표시가 되어있지 않은 d식품을 판 c사에 d식품을 산 고객이 "이 상품의 제조날짜를 알려달라", "이 상품의 유통기한을 알려달라", "이 상품에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재료가 들어있는지 알려달라"등의 전화가 옴으로써 회사에 피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상 임도윤 기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끔직
아래의 기자님께서 찬성을 선택하셔서, 반대로 표시했어요, 문제 시 삭제하겠습니다!
나중에, 의견을 댓글로 남길게요^^
저는 이번 토론 주제인 ‘전 성분 표시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에 찬성합니다. 이 글은 단지 제 의견일 뿐이며, 댓글과 반박 모두 가능합니다 :)
첫 째,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공평하지 못합니다. 여러분은 국내 최대 크기, 서비스 등등으로 유명한 비행기 '대한항공'을 아시나요? 원래 대한항공에서는 비행에 지쳐 견과루가 들어 있는 간식을 제공했었는데요, 그 서비스는 현재 찾아볼 수 없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바로 견과루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의 이상 반응, 질식사 등으로 그 서비스를 중단했습니다. 견과루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은 성분을 알지 못했다가 견과루를 섭취했는데, 심하게는 사망까지도 갔었죠. 이 이야기는 이 글의 중요한 포인트가 아니지만, 이처럼 성분 확인을 하지 않았거나, 성분 표시제가 없으면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은 그것을 모르고 섭취를 했다가는, 아까 말했듯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현재까지 성분 표시제가 있었기에 많은 알레르기 사건들을 예방할 수 있었던 것이겠죠?
둘 째,성분 표시제가 없으면 그 식품 제조사에 제보가 많이 들어올 것입니다. 만약 성분 표시제가 없다면, 많은 사람들이 성분을 물어보려고 전화 통화 등을 부탁할 것입니다. 자영업자들은 안 그래도 버티기도 버겁고, 딱 힘든 시기인데, 과연 수많은 제보 통화들을 다 받을 수 있을까요? 아니요.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코로나19가 우리을 덥친 상황인 지금, 많은 청년들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일하며,힘들게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고작 성분 표시제 때문에 하루에 전화 50통씩 받는 거라면요? 저였으면 힘들어서 기절을 할 것 같은데요. 여러분들이 입장을 바꿔 생각해보면은 아마 이해가 가실 거라고 믿습니다.
셋 째, 성분 표시제가 있어야 유통 기한을 알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식품들은 유통 기한이 성분 표시제에 있습니다. 실제로 유통 기한이 지난 식품들을 먹다가 배탈이 난 적도 적지 않은데요, 물론 많은 분들이 유통 기한을 확인하시고, 식품을 섭취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분들도 적지 않습니다. 유통 기한이 지난 것임을 모르고 있었다가 나중에 확인을 하면 찜찜한 기분이 들기도 하고, 왠지 모를 속이 아픈 감정을 느낄 수도 있죠.
저는 위의 이유들로 이번 토론 주제에 찬성합니다. 이상 김지우 기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